조선왕실에서는 새해 첫날 왕이 문안을 온 신하들에게 회례연(會禮宴)을 배풀어 덕담을 나눴다.(게티이미지) |
새해가 시작되는 설날에는 신하들이 궁을 찾아 왕에게 인사를 올렸고 왕은 이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는데 이를 '회례연(會禮宴)'이라 불렀다. 설날 전후 왕실의 상황에 따라 문무백관들에게 음식을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상황에 따라 왕실 경비를 담당하는 입직군사나 성균관 유생들에게도 음식을 내렸다.
세조실록 7년 1월 11일 임자 2번째 기사에는 "정조(正朝·차례) 회례연(會禮宴)의 찬물(饌物·국이나 탕)을 이미 갖추었는데 정지하였으니, 청컨대 이를 성균관 유생(成均館儒生)에게 내려 주소서"라는 기록이 있다.
왕실에 변고가 생기거나 아픈 환자가 생기면 연회를 중단하는 때도 있었다. 성종실록 9년 1월 1일 갑자 3번째 기사에는 "중궁(中宮)이 편찮으니 회례연(會禮宴)을 정지하라"는 기록이 있다. 중전의 건강 여부가 설날 풍습을 중단할 정도로 중요한 사안이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나라에 변고가 생기거나 흉년으로 국가 살림이 어려우면 회례연을 중단하기도 했다. 성종 25년 12월 10일 을축 2번째 기사에는 임금 성종이 "명년에는 마땅히 회례연(會禮宴)을 행하겠지만, 올해는 흉년이 들어서 백성들이 많이 굶주리니, 연수(宴需)가 부족할 것이므로 잔치를 정지하려고 하는데, 어떠하겠는가"라며 신하들에게 묻는 기록이 나온다.
정조 14년 설날에는 궁에 큰 화재가 발생했다. 창경궁 내 통명전에 화재가 발생해 1백여 칸이 넘는 방이 모두 소실됐다. 갑작스러운 화재 사고에 놀란 정조는 신하들에게 불조심을 강조하며 "불길은 인력(人力)으로 잡을 수가 없었던데다 설날 아침에 불이 났다는 것은 참으로 경계심을 가질 만한 일"이라며 개탄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소실된 통명전은 조선 후기인 순조 34년 창경궁을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선왕실에서의 음력설은 1896년 을미개혁으로 태양력이 시작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당시 친일 개화파가 국가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신정이 공식적인 새해 첫날로 지정됐다. 자연스레 설날에 진행됐던 궁중 행사도 간소화됐고 급기야 순종 1년 회례연이 폐지되기에 이른다. 순종 1년 양력 1번째 기사에 순종 임금은 "1월 1일에 덕수궁(德壽宮)에서 세알(歲謁)할 때 치사(致詞)를 올리고 예를 행하는 절차와 조하(朝賀)할 때 종친과 문무백관(文武百官)들이 치사와 표리(表裏)를 예를 행하는 절차를 모두 정지(停止)하라"고 명을 내렸다.
이듬해 순종은 설날 행사를 모두 권정례(權停禮)로 전환하라는 명을 내린다. 권정례란 국가 의례에서 왕이나 왕비, 세자나 세자빈 등 의례의 주인공이 참석하지 않은 채 거행하는 예식을 말하는 것으로 임시방편의 형식에 불가했다. 실록에서의 설날 기록은 이날 기록이 마지막이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