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1강 계묘년 물생어묘(物生於卯)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1강 계묘년 물생어묘(物生於卯)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1-1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51강: 계묘년(癸卯年)이 힘찬 기운(氣運)으로 밝았다.

예외 없이 모든 사람들은 새해의 희망을 기원하고, 도약(跳躍)의 약속을 믿고 있다.

근래 유래 없이 단기간 내에 고도의 성장을 이룩한 '대한민국!' 위대하고 자랑스럽다.

토끼를 글자로 표현한 묘(卯)자는 '밝을 묘(昴)'자에서 따온 것이니 동쪽에 해가 뜨고 만물이 나온다는 물생어묘(物生於卯)에 해당된다.(주역강의1, 대산 김석진)



그렇기 때문에 예로부터 토끼를 소재로 한 이야기들이 많다

토끼는 원해 영리하기 때문에 용왕의 심부름꾼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유명한 고사성어로는 교토삼굴(狡免三窟)이 있다. 또 원래 약하고 순해서 토사구팽(兎死狗烹)이나, 수주대토(守株待兎) 등 고사(古事)의 조연(助演)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연초가 되면 우리는 지난 한해를 돌이켜 보고 허물은 고치고, 올바름은 권장하여 보다 더 평안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있다. 이로써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자세하고 세밀한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이러한 중요성을 간파하고 후손들이 참고 될 만한 교훈의 말을 남기곤 했다.

공자는 一生之計在於幼 一年之計在於春 一日之計在於寅(일생지계재어유 일년지계재어춘 일일지계재어인/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있고, 일 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寅(인시)에 있다.' 라고 조언한다.

그러나 위의 경언(警言)을 소홀히 하여 세밀한 계획을 세우지 않고, 하루, 일년, 혹 일생을 분명한 목표나 계획 없이 보낸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경고가 이어진다.

곧 幼而不學者無所知 春若不耕者秋無望 寅若不起日無所辦(유이불학자무소지 춘약불경자추무망 인약불기일무소판/ 어릴 때 배우지 않으면 아는 것이 없고, 봄에 경작하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고,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할 일이 없게 된다.

?幼(어릴 유), 計(계획 계), 耕(밭갈 경), 辦(힘쓸 판, 힘써일하다), 寅:새벽 3 ~5시를 가리킴

'각삭지도(刻削之道)'란 말이 있다. 무슨 일이든 처음 시작할 때부터 방법, 차례, 규모, 완급조절 등을 미리 잘 생각하고 따져보아서 계획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는 '한비자(韓非子) 설림(說林)편'에 수록된 말로써 '조각가가 사람의 얼굴을 조각함에 있어 처음에 코는 크게 다듬고 눈은 작게 다듬어야 한다. 코는 한번 작게 만들어버리면 다시 크게 하기 어렵고, 눈은 한번 크게 만들어버리면 다시 줄일 수 없는 것이기에 새기고 깎아내는데 있어서 '조각의 도(彫刻之道)'라고 규정하였다.

일 년을 살아갈 계획이야말로 정말로 중요하고 세밀해야하며 실천 가능한 계획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그 다음은 의지(意志)이다.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옛말이 떠오른다. 또 한 번쯤은 모두들 경험해보았을 것이다. 특히 남성분들의 금연(禁煙)과 금주(禁酒)의 계획과 의지는 쉽게 달성 할 수 없다. 보통의 인내와 의지로는 성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금년이 시작되는 년 초 반드시 좋은 계획과 인내를 동반한 의지(意志)로 올해를 행복한 한 해로 만들어 보자.

문득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간웅(奸雄)으로 등장하는 '조조(曹操)'가 최악의 경우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웅대한 목표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한 한 구절이 눈에 띈다.

"逢山開道 遇水架橋(봉산개도 우수가교/ 산을 만나면 길을 내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는다)"

올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각오와 실천이라 생각된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5.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