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청 전경. |
인천과 광주·전남, 경북 구미, 경기 용인·남양주 등 전국 지자체와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대전만의 특·장점을 기반으로 첨단산업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미래전략에 부합하는 청사진을 내놓는 게 핵심과제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달 26일부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공모를 진행 중이다. 특화단지 지정은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중점 지원을 목표로 정부가 작년 말부터 추진해왔다. 첨단전략산업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3개 산업군이다. 정부는 지정한 특화단지에 인허가 신속 처리부터 입지확보, 전력·용수 인프라 구축까지 맞춤형 지원책을 펼친다.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 계획에 전국 지자체의 관심은 뜨겁다. 앞서 10일 서울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의 합동 설명회엔 인천과 광주·전남, 경북 구미, 경기 용인 등 지자체 관계 공무원과 기업인들이 대거 몰렸다. 정부는 2월 27일까지 접수를 진행한 뒤 서류심사와 현장 실사를 거쳐 올 상반기 내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대전시는 반도체 분야를 노리고 있다. 반도체는 이장우 시장의 일류 경제도시 구상의 한 축이다. 때문에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은 일차 관문과도 같다. 이를 위해 후보 시절 공약을 구체화한 나노·반도체산업 육성전략을 세우고 발전협의회를 출범시켜 지역역량 강화에 나선 상태다.
하지만 상황이 유리하지만은 않다. 일단 다른 지역보다 취약한 반도체 산업기반이 문제다. 경북 구미는 LG이노텍, SK실크론과 같은 소재부품 기업 공장이 있고 경기 용인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생산단지를 조성 중이다. 반면 대전은 대규모 기업이나 공장시설이 취약해 산업기반만 놓고 보면 경쟁에서 다소 밀리는 게 사실이다.
이장우 시장이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에 적극적인 것도 이 때문이다. 글로벌 과학기업인 독일 머크(MERCK)사와 협력의 물꼬를 튼 데 이어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인 LX세미콘과는 실무 TF를 꾸려 반도체산업 육성 구체화에 나서기로 했다. 나노·반도체의 핵심 설계와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기업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이장우 시장의 판단이다.
시 차원에선 관련 기업과 접촉을 이어가며 대전만의 특·장점을 바탕으로 미래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정부가 요구하는 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이전·투자 계획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KAIST 등 관련 학교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우수 인재와 기술력, 연구 인프라를 반도체산업 육성에 어떻게 활용하고 기업 유치에 접목할지가 포인트다. 시는 내달 중순께를 목표로 제안서 준비에 들어갔다.
대전시 관계자는 "반도체 특화단지는 나노·반도체를 핵심 주력산업으로 육성해 미래 성장동력을 얻고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첫 번째 관문이나 마찬가지"라며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전만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특화단지로 지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