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강지원 사회개혁가, 신천식 박사, 이주진 전 연구단지기관협의회장, 김민수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방문교수.<사진=금상진 기자> |
이주진 전 연구단지기관장협의회장은 "본래 과학기술의 시작이 고대 이집트에서 인간의 병을 고치기 위한 약을 만들면서 비롯된 만큼, 인류를 돕고 탐구하는 취지가 크다"며 "현대 과학기술이 건강과 삶의 편의성 두 축을 전제로 인류와 도덕이 근본에 깔렸고, 과학과 정치를 분리했을 때 비로소 '선한 과학'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과학의 세기 이후 인류문명의 전망과 과학 도시의 과제는'이라는 주제로 4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는 강지원 변호사 겸 사회개혁가, 이주진 전 연구단지기관장협의회장, 김민수 시민참여연구센터 운영위원장 겸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방문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강지원 사회개혁가는 "인류가 찾아야 할 문명의 대전환은 '조화문명'이며, 과학자와 인문학자 간 학문적 융복합이 전제돼야 한다"며 "그동안 물량과 성장 중심주의로 과학이 발전하면서 편향적 치우침이 있었음을 인지하고, 과학기술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한 '굿 라이프' 추구와 이에 맞는 선한 과학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제언했다.
과학 도시 대전의 바람직한 행정 역할에 관한 제언에 대해 김민수 교수는 "대덕 특구를 품으면서 대전이 과학의 도시라는 전제가 발생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과거의 밥벌이 수준에서 벗어나 품격을 가미한 '과학문화도시'로서의 면모를 구축해야 한다"며 "해마다 선보이는 과학예술비엔날레를 행사가 끝난 후에도 대전 곳곳에서 볼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과학에 관한 학문적이고 성찰적인 연구 육성을 병행해 문화와 예술을 접목한 과학 도시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은 대덕 특구를 중심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과학과 경제를 접목한 '과학기반 도시' 대전을 구축하고, 물질과 함께 정신과 물질을 가미한 '조화문명' 기반의 과학기술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