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내일 새벽에 행성들이 한 줄로 늘어선대요. 학교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해요!"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초대에 놀라면서도 기뻤다. '이 아이들이 언제부터 이렇게 과학에 관심이 많았지?' 하는 의문과 새벽 시간이라는 난관이 있었지만, 기쁜 마음이 커서인지 "그러자! 내일 몇 시에 만날까?"라는 말이 툭 튀어나왔다.
2022년 6월 17일. 새벽 4시에 만나기로 했는데, 3시 50분임에도 모여 있던 아이들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약속 시간에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학교에 있었고, 오고 있었다. 내가 도착해 문을 열자마자 아이들은 서둘러 과학실로 갔다. 망원경을 운동장까지 가지고 가서 조립하는 걸 늦지 않게 해야 우주쇼를 제대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날 4시 30분부터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하현달 그리고 별 베가까지 관측하였다. 시간이 좀 지나자 출출해진 우리는 컵라면을 먹으며 새벽 우주쇼를 함께 관측한 기쁨을 나눴다. 그날, 새벽 관측이라는 깜짝 이벤트가 소문이 났다. 라면 때문인지, 행성 때문인지 모르겠다. 그다음 날도 새벽 4시에 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났다. 6월 18일에는 날씨가 흐려 구름이 너무 많았다. 하늘에는 여전히 행성과 달, 별들이 반짝이고 있었겠지만, 달마저 가려 버릴 정도로 구름이 많았다. 새벽 4시부터 2시간 동안이나 구름이 걷히길 기다렸는데, 구름의 위상은 견고했다. 아쉽게도 관측을 하지는 못했다.
오랜 휴직 끝에 복직하여 작년부터 만난 아이들. 1학년 때 지권의 변화를 배우며 교내의 돌멩이를 주워 나만의 암석을 만들자, 애착이 생겼는지 어떤 아이들은 애완 돌멩이라며 책상 위에 올려두기도 했다. 초콜릿을 녹였다 굳히며 암석의 변화를 공부했고, 지식 사고팔기 등을 통해 친구들과 함께 과학을 배워 나갔다. 마을이나 KEI와 연계하여 생물 다양성에 대한 토론 활동을 하고 전문가 강의와 함께 피드백을 받기도 했다. 자유학기제와 세종시의 창의적 교육과정이 이러한 시도들을 가능하게 했다. 기체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변화를 배우고 나서는 양초 펌프 실험으로 가설을 세워보고 연역적 탐구를 체험하였다. 올해 새 학년을 시작하면서는 미스터리 튜브로 과학의 본성에 대해 배우고 탐구했다. 아이들에게 학습을 요구한 적 없이 재미있게 수업 활동을 했을 뿐인데, 아이들은 열심히 과학을 공부한다. 과학의 재미에 푹 빠졌다고 하는 얘기를 학부모로부터, 다른 과목의 시험이 어려웠다며 걱정하다가도 '과학만 안 망하면 돼'하며 의지를 보이며 공부하더라는 얘기를 다른 교과 선생님으로부터 전해 들었다.
이번에는 태양계 단원을 배웠다. 학교 정원에 나가 에라토스테네스가 태양빛으로 지구 크기 측정한 방법을 평면에 적용하여 직접 계산해 보았다. 여러 가지 길이의 지관을 이용하여 밖에서 태양을 관측하고, 삼각형의 닮음비를 활용하여 크기를 재 보았다. 야외로 나가 교과서에 있는 대로 망원경 구조를 살피고 학급마다 아이들이 직접 조립해 태양 표면 관측을 시도했다.
이러했기에, 과학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들은 학교에서의 우주쇼 관측을 생각해 내었던 것 같다. 처음 이 제안을 했지만 그 날 잠들어버려 나오지 못했던 아이와 두 번째 관측 날의 아이들은 18년 뒤에 행성 정렬쇼를 볼 수 있다며 그때 운동장에서 다시 만나자고 다음을 기약했다. 이른 새벽에 만났던 우리는 졸려서 운동장에 드러눕기도 하고 웃으며 이야기도 나누고 사진도 찍으며 관측을 기다렸었다. 관측에 성공했든 실패했든, 아이들은 이 시간을 아름답게 추억했다. 구름이 하늘의 모든 반짝이는 것들을 다 가려버렸던 날에도 하늘에는 천체가 빛을 발하고 있고, 반짝이는 아이들도 그대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