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1일자 대전시 고위직 인사명단. 왼쪽부터 유세종 대전시의회 사무처장, 박월훈 일류도시정책개발추진단장, 양승찬 시민안전실장, 임묵 이사관, 한선희 전략사업추진실장, 이성규 행정자치국장. 이중 이성규 행정자치국장만 비고시 출신이다. |
왼쪽부터 정재용 시민체육건강국장, 민동희 복지국장, 고현덕 교통건설국장, 김기홍 인재개발원장, 노기수 문화관광국장, 임재진 충청권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 모두 고시 출신이다. |
인사 적체에 따른 정부부처와 타 시·도의 공통적인 사안이라고 하지만, 국가직을 제외한 본청과 의회, 사업소 고위직 21명 중 15명(71.4%)이 고시 출신이라는 점에서 비고시 출신들의 허탈감이 커지고 있다.
물론 타 시·도와의 경쟁력과 정부부처와의 원활한 협력 측면에서 고시 출신들의 강점은 인정하지만, 승진 하나만을 바라보고 바닥부터 묵묵히 일해온 비고시 출신들의 숙련된 엔진을 가동하기 위해선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대전시가 12월 23일 발표한 ‘2023년 1월 1일자 대전시 국·과장급 승진 및 전보 인사’에서 2급 승진자 임묵(행정고시 38회) 이사관과 3급 승진자 노기수(행시 52회) 부이사관은 행정고시 출신이다. 비고시 출신 고위직은 없었다.
전보에 따른 보직인사에서도 13개 2∼3급 보직 중 유세종(행시 38회) 대전시의회 사무처장과 양승찬(행시 37회) 시민안전실장, 박월훈(기술고시 23회) 일류도시정책개발추진단장, 한선희(지방고시 2회) 전략사업추진실장, 정재용(행시 45회) 시민체육건강국장, 민동희(지시 5회) 복지국장, 고현덕(행시 45회) 교통건설국장, 노기수(행시 52회) 문화관광국장이 고시 출신이다.
보직 변경이 없는 김영빈(행시 50회) 경제과학국장과 토목직인 조철휘(행시 50회) 철도광역교통본부장까지 포함하면 10명에 달한다. 비고시는 이성규 행정자치국장과 신용현 환경녹지국장, 장일순 도시주택국장 등 3명뿐이다.
교육과 훈련, 파견자도 비슷하다. 충청권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으로 파견된 임재진(지시 7회) 부이사관과 재외공관으로 파견된 김기환(지시 7회) 부이사관, 국외 훈련을 가는 박문용(지시 9회) 부이사관 등 3명은 고시 출신이고 비고시 출신은 지용환, 문인환 부이사관이다.
사업소 3곳도 마찬가지다. 김기홍(지시 1회) 인재개발원장과 박제화(지시 2회) 건설관리본부장은 고시, 최진석 상수도사업본부장만 비고시 출신이다. 고시 출신 고위직은 남아돌고 비고시 출신은 찾아보기 힘든 이른바 ‘고시 독점시대’다.
당연히 비고시 출신들의 불만은 커질 수밖에 없다.
A 서기관은 “오래전부터 예견됐지만, 방법을 찾거나 희생하려는 고시 출신은 없었다”고 했고, B 사무관은 “이러면 고시와 비고시 간 갈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C 과장은 “(고시 출신 중용을) 어느 정도 불가피하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모두 수용하기도 어렵다”고 했다.
대전시는 여러 복합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사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비고시 출신들의 심정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서기관(4급) 승진자 13명 중 비고시 출신이 12명이나 되는 것도 이와 무관치는 않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확한 원인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합적인 문제가 많다. 인사 적체는 전국적으로 공통적인 사안으로, 그나마 대전시는 나은 편”이라며 “여기에 경쟁이 치열한 시대인 만큼 타 시·도와의 경쟁력과 정부부처와의 업무 소통 등 달라진 환경도 한몫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