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선거를 앞둔 마지막 해에는 시정 공약과 주요 사업을 집약해 12월 결과를 공개한다. 그리고 선거를 치른 후 6월 말에는 최종 공약 이행 완료율을 시민에게 공개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24일까지 취재 결과, 6월 25일 기준 민선 7기는 102개 약속사업을 97.2%를 달성했다. 4년 동안 대전의료원 등 11개 중요사업이 정부 예타 통과 또는 면제를 받으며 호흡이 긴 다수의 사업이 출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했다는 평가다. 또 온통대전 발행, e스포츠장 건립도 브랜드 사업으로 선보였다.
반면 중기부 이전 사태 장기화, K-바이오 랩허브 유치 실패, 트램 2호선 정책 결정 지연은 임기 내내 뭇매를 맞았다. 남북 관계 경색 등 대외적인 문제로 스마트철도 융복합 산업육성과 생태계 조성, 남북과학도시 간 교류 지원, 남북과학기술자 교류와 연구기관 간 합작사업 추진,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는 최종 폐기로 남게 됐다.
대전시 관계자는 "약속사업은 오롯이 기관장의 평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시정이 교체돼도 계속 또는 지속 사업 현안은 다음 시정으로 이어져야 한다. 다만 새로운 시정 기조에 따라 규모나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것은 또 오롯이 다음 시정의 몫"이라고 했다.
취임 62일 만에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을 확정 짓고 나노·반도체를 대전시 주력산업으로 선포했다. 전국 최초 투자청 설립과 산업단지 500만 평 조성도 빠르게 행정 절차를 추진하고 있어 일하는 시정을 보여주겠다는 목표를 임기 초반부터 빠르게 실행하는 모습이다.
취임 6개월 차 이장우 대전시장의 추진력은 시정 내·외부에서도 공통으로 '긍정' 평가하는 항목이다.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도 이 시장의 결단으로 촉발돼 정부 차원의 논의를 이끌어 냈고, 정체됐던 보문산 종합개발, 도시철도 2호선 트램까지 정책 결정을 내리며 민선 8기 브랜드 사업을 위한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했다고 볼 수 있다. 임기 내 얼마큼 사업이 진전될 수 있을까는 지켜봐야 할 문제다.
포용력 부족 문제는 여실히 드러났다. 주민참여예산 일방적 삭감과 온통대전 사실상 폐지, 시민단체와의 마찰 등 민선 7기 시정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곳곳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전임 시정을 빠르게 지우고 민선 8기의 색을 입히기 위한 조치지만, 민선 8기가 풀어야 할 큰 숙제라고 할 수 있다.
모 대학 교수는 "민선 8기 대전시정이 역대 시정보다 빠른 템포는 맞다. 대형사업을 시작하는 것도 좋지만 매듭도 중요하기 때문에 임기 내에 완료하는 사업에 주력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전시 전체를 아우르는 포용력, 시민을 향한 애정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중심을 잡는 시정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