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48강 모가택선(母價擇選)-2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48강 모가택선(母價擇選)-2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12-15 10:09
  • 수정 2023-05-02 11:01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48강: 母價擇選-2(모가택선-2) : 어머니의 가치 있는 선택

글 자 : 母(어머니 모) 價(가치 가, 최고 가) 擇(가릴 택) 選(가릴 선. 좋을 선)

출 처 : 한국의 야사(韓國의 野史), 박재형(朴在馨)의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비 유 : 아들을 훌륭하게 키운 모범적인 어머니의 생각과 실천





한 해(歲)가 서서히 저물어 간다. 우리는 이 시점(時點)을 세모(歲暮)라고 부른다.

세모가 되면 한 해(歲)를 돌아보게 되고, 날씨가 추워지므로 바깥나들이 보다는 집안에 있는 시간들이 많아진다.

이쯤 되면 가정과 가족이 더 생각나고 포근한 분위기가 그리워져, 생애 가장 포근하게 느꼈던 어머니 품이 생각난다. 자나 깨나 자식 걱정으로 한 세상을 사시는 분이신 어머니가 가장 그리워지는 시기이다.

이 세상 어느 어머니인들 자식이 올바르게 잘 자라고 또 그 자식이 세상을 밝게 하는 훌륭한 인물로 성장하도록 기원하지 않으시는 분이 있으시겠는가! 어머니는 당신의 능력이 다 할 때까지 세상사 무슨 짓(도둑질 빼놓고)을 하든지 자식을 위한 일이라면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선뜻 나설 하나 뿐이신 분, 바로 어머니시다.

조선 중엽 영의정을 지낸 홍서봉(洪瑞鳳)의 어머니 류(柳)씨는 학식(學識)과 덕망(德望)이 뛰어나기로 유명했다.

그는 당시의 관습대로 여자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남자 동생(柳夢寅/류몽인)이 배우는 글을 어깨 너머로 배워, 글을 깨우쳤지만, 시문(詩文)에도 능해 학식 있는 지식인들까지도 그녀를 인정할 정도였다.

하지만, 홍서봉(洪瑞鳳)이 세 살 때 아버지 홍천민(洪天民)이 돌아가시면서, 어머니 류(柳)씨는 홀로되어 어린 아들을 양육하며, 직접 가르쳤는데 아들이 글을 낭송할 때면 언제나 중간에 발을 치고 그 소리를 경청했다.

한번은 이를 이상하게 여긴 조카가 류(柳)씨에게 그 연유를 물었다.

"큰 어머님께서는 어째서 아들이 글을 읽을 때면 꼭 발을 치시는 겁니까?"

이에 류(柳)씨는 인자한 미소를 띠우며 말했다.

"그건 바로 서봉이가 내 자식인 까닭이다. 자식이 눈앞에서 글을 잘 깨우치면 세상에 어느 부모가 기쁘지 않겠느냐, 너도 알다시피 서봉이는 일찍 아버지를 여읜 불쌍한 아이다. 그런데 어머니인 내가 하나뿐인 자식이라고 그저 위하기만 한다면 장차 서봉이의 앞날은 어찌 되겠느냐? 필경 제 하나밖에 모르는 철부지가 되고 말 것이야."

류(柳)씨는 자신도 모르게 흐려지는 시야에 힘을 주며 말을 이었다.

"너, 이것이 뭔지 아느냐?" 류(柳)씨는 방 한구석에 놓인 비단 보따리를 가져왔다.

"그것이 무엇입니까?" 류(柳)씨는 아무 말 없이 비단 보따리를 풀었다

"아니 회초리가 아닙니까?"

놀라는 조카를 보며 류(柳)씨는 표정을 잃지 않고 대답 했다.

"그렇다. 회초리다. 아까 말하다 말았다만 만약 서봉이가 자기의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어미가 좋아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방자하고 교만해질지도 모를 노릇이요. 또 이렇게 회초리를 비단 보자기에 싸두는 것은 아들의 잘못을 바로잡는 소중한 물건을 함부로 할 수 없는 까닭이니라."

류(柳)씨는 말끝에 눈물을 훔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조카는 큰어머니의 깊은 속뜻을 그제야 알 것 같아 무릎을 꿇은 채로 한참을 앉아 있었다.

이렇게 자식에 대한 류(柳)씨의 훈육(訓育)은 남달랐다.

류(柳)씨는 아들 서봉이 장성할 때까지 비단 보따리에 싼 회초리를 방에서 치우지 않았다.

후일 류(柳)씨의 수연(壽宴) 잔치가 있던 날, 인조 임금께서는 하사품을 내리시어 류(柳)씨의 노고를 치하했으며, 조정(朝廷)의 이름난 대신들 또한 대거 참석하여 류(柳)씨의 공(功)을 칭송했다.

이런 비장(悲壯)하고도 엄(嚴)한 어머니에게서 교육을 받은 홍서봉은 훗날 조선 중기의 문필에 뛰어난 문신이자, 영의정을 지내는 훌륭한 재상이 된다.

모든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위해서 어떤 훈육이 좋을지 매 순간 고민한다.

칭찬을 자주 해 주어야 하는 것도 꼭 필요하지만 훈계(訓戒)없는 교육은 자식에게 학문(學文)은 가르칠 수 있어도 인품(人品)과 덕성(德性)은 가르칠 수는 없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로서 자녀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 이것이 '최고의 교육'이 될 것이다.

근대의 과학적 교육학의 창시자로 손꼽히는 독일의 헤르바르트는 "교육은 원래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부모보다 더 자연스럽고 호적한 교육자는 없을 것이다"라는 주장이 진실 되고,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