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내 전경.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은 2021년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통과하며 급물살을 탔다. 대전시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거버넌스가 구성됐고, 약 1년여 끝에 완성된 종합이행계획은 지원 조례로 제정했다.
무엇보다 폐쇄적인 대덕특구의 공간을 파괴적으로 혁신해 사람이 모이는 창조적 명품 공간으로 대전환한다는 발상은 대전시와 출연연의 오랜 숙원이 해결되는 변곡점이다. 여기에 수도권 쏠림에서 벗어나 지역균형발전까지 주도하는 점 그리고 지역 인재와 대학, 기업까지 주체 간 교류를 방점을 찍으면서 과거 50년보다 미래 50년의 대덕특구는 큰 한 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대덕특구 내 분위기도 변하고 있다. 그동안 과제와 연구 수행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지역과 뭘 함께 할 수 있을까'라는 논의가 시작됐다는 전언이다.
대덕특구 재창조는 2023년부터 앞으로 10년 동안 추진할 과제가 집약돼 있다. 10대 핵심과제 34개 세부과제(지역주도 26개, 국가주도 8개)로 설정해 점진적으로 실행력을 높여갈 계획이다. 총 4개로 구성된 워킹그룹 중 1~2그룹의 장을 맡았던 최병철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융합혁신본부장과 박은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본부장은 기업과 시민을 '연계'하고 '협업'하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은일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 본부장(워킹그룹2)은 "기술패권 시대에는 지정학이 중요하다. 기술과 안보, 문화와 기후, 식량 그리고 생존까지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격차 기술이 대덕특구에서 개발되면 대전이라는 거점을 통해 뻗어 나가야 한다"라며 "출연연의 핵심 기술을 연구소 기업이 직접 사업화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규제를 풀어 산업 육성을 이끌어 내는 것에 주력하는 것이 핵심 과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최병철 본부장은 "그동안 출연연의 테스트베드가 부족했는데, 앞으로 기술 실증과 혁신 과정에 대전시민이 참여하는 '스마티즌'이 돼야 한다. 인프라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보다 대덕특구와 대전을 이루는 구성원 모두의 철학을 한마음으로 모으는 것이 진짜 대덕특구 재창조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대한민국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의 도약이 관건이다. 클러스터는 R&D와 지역산업 기업과 정책이 융합돼 시너지를 내는 것인데, 그동안 개별적으로 발휘했던 혁신 역량을 융합하고 연계해야만 핵심과제 또한 완성형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종합이행계획은 10년 단기 목표로 설정돼 있지만 2040년까지 장기과제를 지속 추진해 나간다. 총사업비는 1조954억 원이다.
최병철 본부장은 "대전은 혁신역량은 최고지만 경제와 산업역량은 낮다. 대덕특구 재창조는 대덕특구-대전-대한민국이 잘 되는 3대를 흥하게 만드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말했고, 박은일 본부장은 "대덕특구 50주년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혁신주체 모두의 잔치다. 대덕은 세계를 선도하는 클러스터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