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도시(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의 도시철도 총 길이는 2020년 기준 739.3㎞. 이 가운데 144만 인구의 대전은 전국 2.7%에 해당하는 20.5㎞가 전부다. 교통의 도시라는 말이 무색한 지표다. 안타까운 건 2035년까지 서울 72.25㎞, 부산 177.85㎞, 대구 55.4㎞, 인천은 88.91㎞를 추가하겠다는 구상이라 도시철도 연장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그렇기에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계속돼야 한다. 대전의 미래를 상상해보면 트램은 도시의 정체성을 바꿀 전환점이다. 운행방법이나 급전 방식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과업에 마침표를 찍는 완공이 전제 조건이다.
중도일보는 [트램, 이제는 개통이다!]라는 명제를 설정했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시민과의 약속을 지켜달라는 주문이자 전국 1호 트램 완공을 위한 염원을 되새기자는 취지다. <편집자 주>
(상) 광주는 되는데, 대전은 왜 안돼?
(중) 총사업비 현실화, 이제는 속도전
(하)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
1973년 대덕연구개발특구 설립,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후 대전은 품격과 가치를 모두 갖춘 도시가 됐다. 그러나 2022년 지금까지도 도시의 경쟁력이라 꼽을 무언가가 없다. 그러나 대전은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라는 마지막 히든카드로 쥐고 있다. 준비과정이 아니라 트램 완공을 전제로 급변할 도시의 모습을 상상에서 이제는 현실로 옮겨야 하는 이유다.
트램은 버스·승용차와 함께 지표면을 달릴 예정이다. 일부 구간은 구배(비탈, 경사면)로 인한 지하화가 불가피하지만, 지상 교통수단으로 자연히 승용차 감소로 이어진다. 대전시의 트램 중심 교통체계 변화와 연계되는 것으로 비로소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 설계된다.
진장원 한국교통대 교수는 "유럽이나 선진국에서 트램이 부활한 이유는 딱 한 가지다. 기존 노면전차나 버스 그리고 지하철은 계단을 이용해 오르고 내려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는데 트램은 지상에서 승하차가 가능해서 환승 저항을 줄일 수 있다"며 "트램은 전기가 동력이라 소음도 없고 배기가스도 없다. 또 도심에서 자동차를 밀어내 교통 흐름을 바꾸는데 공기 질마저 달라지는 효과가 있다. 트램이 들어오기 전과 후 시민 체감은 상당히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보순 배재대 드론·철도건설공학과 교수는 대전이 가진 인프라 강점을 강조하며 "서울만 해도 버스중앙로차가 있어 어려운데 대전은 다른 행정도시에 비해 트램을 건설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이 좋다. 여기에 출연연과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등 철도 분야 기술력도 충분히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수 동양대 철도운전제어학과 교수는 "대전 트램은 드물게 순환선 형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내선, 외선, 지선을 운영해 성공적인 사례인데, 대전도 지선을 연결하는 운영방법을 고민하면 좋겠다. 대전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도시로 상징적인 트램 도입은 많은 시사점을 남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트램 완공이 가지는 의미는 도시를 넘어 국가적인 경제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국비가 투입된 1호 트램이자 순환형 타이틀은 물론이고 100% 무가선 확정 땐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브랜드가 된다는 얘기다. 결국 트램 완공 속도에 대전과 대한민국 경쟁력이 좌우되는 중요한 모멘텀이다.
진장원 교수는 "트램으로 결정했다면 총사업비 확정 등 행정 절차를 빠르게 끝내고 착공에 속도를 내야 한다. 트램은 많은 구경거리가 될 거고 트램을 위해 대전을 방문하는 트램 관광객도 생겨날 거다. 여기에 도시재생, 가로 경관 변화, 친환경이라는 의미에서 우리나라 1호 트램 의미가 크다. 트램이 완공된다면 대한민국 교통 역사의 획을 그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끝>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