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도시(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의 도시철도 총 길이는 2020년 기준 739.3㎞. 이 가운데 144만 인구의 대전은 전국 2.7%에 해당하는 20.5㎞가 전부다. 교통의 도시라는 말이 무색한 지표다. 안타까운 건 2035년까지 서울 72.25㎞, 부산 177.85㎞, 대구 55.4㎞, 인천은 88.91㎞를 추가하겠다는 구상이라 도시철도 연장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그렇기에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계속돼야 한다. 대전의 미래를 상상해보면 트램은 도시의 정체성을 바꿀 전환점이다. 운행방법이나 급전 방식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과업에 마침표를 찍는 완공이 전제 조건이다.
중도일보는 [트램, 이제는 개통이다!]라는 명제를 설정했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시민과의 약속을 지켜달라는 주문이자 전국 1호 트램 완공을 위한 염원을 되새기자는 취지다. <편집자 주>
(상) 광주는 되는데, 대전은 왜 안돼?
(중) 총사업비 현실화, 이제는 속도전
(하)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
도시철도 2호선 노선. |
그러나 사업 속도는 현저하게 차이 난다. 광주의 2호선은 이미 1단계를 착공해 공정률은 42% 수준에 올라섰다. 여기에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용역이 법정 기한 내 완료돼 2단계 착공도 가능해졌다.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확정을 위한 협의 과정과 후속 조치가 남았다지만, 큰 산은 모두 넘었다.
KDI 용역 결과,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총사업비는 2조 7935억 원 규모다. 2016년 중앙부처와 총사업비 협의 당시 나온 2조 579억 원보다 7356억 원이 증액됐다. 2019년 총사업비 조정 완료 시점 기준 2조 1761억 원보다는 감액된 360억 원을 제외하면 5800억 원 증액됐다. 광주가 내민 총사업비가 현실성이 있다는 판단이 나왔다는 결론이다.
대전 트램은 2020년 기본계획 당시 총사업비를 7491억 원 산정됐다. 이후 2021년 기술적 검토 등 기본설계를 거쳐 나온 총사업비는 1조4837억 원이다. 가장 큰 패착은 트램과 비교해 금액을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이 없어 모호한 금액으로 초기 비용이 산출됐다는 점이다. 12월 현재 대전시는 그 외 변수 등을 종합해 1조 6000억 원 규모로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대전 트램 완공을 위한 첫 단추로 총사업비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철도 기술 전문가인 강보순 배재대 교수는 "트램은 첫 시도하는 사업이라 교통이나 신호, 중앙선 처리 등 복잡한 비용이 추가로 필요하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설계 과정에서 사업비를 현실성 있게 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도 경영 전문가인 박정수 동양대 교수도 "노면전차 1㎞ 구간 건설 설계비 200억 원은 20년 전 기준이다. 현재 트램을 건설하려면 200억 원으로 부족하고 최소 1㎞당 400억 원 이상은 설정해야 설계와 운영이 가능하다. 대전시의 경우 현재 가치에 맞춘 사업비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총사업비가 증액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한민국에서 대중 교통수단으로 트램 도입은 대전이 최초다. 중앙부처가 총사업비 적정성을 분석한다 하더라도 비교할 수 있는 지표가 없다. 그렇기에 총사업비를 확정하는 사전 협의나 행정 절차 또한 법정 기한이라는 틀에 고정될 이유는 없다. 불필요한 시간을 얼마큼 줄이느냐가 트램 착공의 관건이 될텐데, 이는 대전시의 행정력과 정치력을 보여줄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광주시 도시철도 관계자는 "정부와 재정당국이 어떻게 판단할 것이냐를 결정하는 단계가 바로 사전 협의다. 행정절차를 어떻게 갈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라며 "광주는 큰 틀에서는 정리됐지만, 총사업비 승인까지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가 있어 끝났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진장원 한국교통대학교 교수는 "사업이 지연될 때마다 기회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대전이 트램으로 가기로 확정했다면 친환경적이고 앞으로 도시교통 정책을 선도할 수 있다는 비전을 고려해 대한민국 1호 트램이라는 상징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