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5일 열린 대전 법2동 노인일자리 사업단 해단식 모습. |
정부가 단순한 작업 중심의 공공형 일자리를 줄이고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민간형 일자리를 늘리고 있지만, 문턱이 높아 노인들이 힘겨워하고 있다.
취지는 좋지만, 하루하루 살아가야 하는 데다, 특별한 기술을 배우기도 쉽지 않은 생계형 노인들의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5일 취재 결과, 대전시는 정부 예산을 포함해 올해 748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 2만 372명의 노인에게 공공형·민간형 일자리를 지원했다. 이 중 84%에 달하는 1만 7166명이 공공형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예산은 718억 원으로 줄었고 지원대상도 2739명이 줄어든 1만 4427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공공형 일자리를 줄이는 대신 사회 서비스형을 1723명에서 2290명으로, 시장형을 1213명에서 1530명으로 늘리지만, 전체적으로는 1855명의 노인 일자리가 줄어든다.
공공형을 민간형으로 전환하려는 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현재 공공형 일자리는 청소 등 단순한 업무가 대부분이지만, 민간형 일자리는 민간 법인·복지관 주도로 카페·공방 등 기술도 배우고 일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대전시 사회복지법인 누리봄에서 운영중인 대덕구 중리동 카페 113 모습. |
5일 열린 대덕구 법2동 노인 일자리 사업단 해단식에서 사업 참여자 A 씨는 "일자리 줄이지 말아달라. 좋은 일자리 전환한다 해도 결국은 줄어드는 것 아니냐"며 "내년에 내가 못할지 내 옆 사람이 못할 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취지에 맞게 하려면 노인친화기업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의견도 있다.
길태영 중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공공형 일자리 사업은 경제적 자립 대안은 되지 못한다. 지역 수요에 맞게 민간형 참여자를 늘려야 한다"며 "노인을 위한 단순 일거리 이미지를 버리고 노인친화 기업을 늘리는 등 지역사회 기여를 위한 인력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불만을 알고 있지만, 수요를 반영한 양질의 일자리를 조성이 필요하다"며 "올해 민간형 일자리의 수요가 늘어 2억의 시비를 투입해 시장형 3곳을 마련한 것처럼, 공공형의 수요가 늘면 시비를 더 투입해 공공형 일자리를 확보하는 등 최대한 많은 인원에게 도움을 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일 기자 rladuddlf25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