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가 1973년 설립부터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었다면 앞으로는 자생력 있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대전 그리고 지역 기업과 동반 성장이 목표다.
대전시는 5일 대덕특구 재창조위원회를 열고 4대 추진전략, 10개 핵심과제, 34개 세부과제를 담은 종합이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은 기술패권시대를 선도할 초격차 전략기술 산실, 청년인재가 모여드는 균형발전·지역혁신거점, 과학기술 기반 일류 경제도시의 성장엔진을 3대 목표로 설정했다.
4대 추진전략은 '융합하는 대덕특구', '도전하는 대덕특구', '비상하는 대덕특구', '소통하는 대덕특구'다. 그동안 폐쇄적인 환경으로 교류와 소통이 부족하고 시장연계 미흡, 청년 인재 부족 등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10대 핵심과제는 특구 내 연구성과와 기술을 실증해 기술 창업, 기업 성장과 산업고도화가 골자다. 이와 맞물려 주거와 교통, 문화 등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재가 유입되고 최종적으로는 머물 수 있는 도시로의 변화를 지향한다. 창업부터 특구 구역계 확장, 실증 테스트 베드, 융합연구혁신센터 구축, 연구소 기업 성장 지원, 청년·창업가 맞춤형 주택 공급, 미래교통수단 도입 등이 담겼다.
다만, 지역 주도의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이 지속성 없이 단위사업으로 전락하고 선언과 선포에 그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대전의 과학계 한 인사는 "가장 중요한 건 대전시와 특구, 특구와 기업, 특구와 시민으로 이어지는 연결성에 있다. 폐쇄적인 대덕특구가 벽을 허물었을 때 수많은 자원이 어떻게 활용될지, 내가 사는 대전에 어떤 도움이 되고 얼마큼의 경제효과로 이어질지 시민들이 깨달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보여줄 세부 계획을 다듬고 현실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덕특구 50주년은 전국 최초의 사례기 때문에 2023년 11월로 예정된 기념사업도 중요한 역량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특구의 기여도, 시너지 효과 등을 대대적으로 홍보될 때 타 시·도 특구의 롤모델로 대전이 떠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덕특구 재창조는 대전의 발전을 넘어 지역이 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전환점을 만들어낼 중요한 과제"라며 "대덕특구와 대전시가 원팀이 되어 미래 50년 도약을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