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 조차장역 부지 모습. |
신규 부지를 찾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인데, 민선 8기 내에 밑그림을 그려낼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을 정도다.
4일까지 취재 결과, 조차장역 복합개발은 특별한 진전은 없는 상황으로 확인됐다. 조차장역을 신규 공공택지로 지정하고 최대 2500세대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 나온 지 1년 9개월이 지난 시점임에도 여전히 걸음마 단계라는 얘기다.
조차장역 복합개발은 첫 시작부터 과제가 산적했다. 경부와 호남선이 통과하는 대동맥 선로인 데다, 철도 차량을 정비하는 주요 시설이라는 점이 최대 걸림돌이었다. 물론 전체 조차장역 전체 부지에 선로와 정비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지만, 제3 부지를 확정하지 않고는 첫발을 뗄 수 없다는 조건이 붙는다.
신규 부지의 경우 적정한 후보지를 선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철도 차량 입·출고를 선로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핸디캡이 존재해 부지 선정 과정이 녹록지 않다. 대전 조차장역과 비슷한 규모가 있는 부산에서도 도심을 관통하는 조차장역 이전과 복합개발을 추진 중인데, 추진 속도나 진행 과정이 대전과 별반 다르지 않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단순히 철도를 옮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또 대전시만의 단독 사업이 아니다. 또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순탄한 협의 또한 어려운 문제다. 진전이 없는 것이 아니라 관련 기관과 협의하고 검토하는 과정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빠른 추진력으로 무장한 민선 8기의 묘안이 필요한 순간이다. 임기 내에 이렇다 할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한국철도공사(조차장역 운영권자), 국가철도공단(자산관리권자), 국토교통부와의 긴밀한 협의뿐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올해 6월 호남선 지하화 용역에 조차장역 복합개발 기본 구상도 포함돼 발주됐다. 대전시와 LH는 용역비를 부담하고 한국철도공사는 기술 자문과 검토, 자료 제공을 맡는다.
대전시 관계자는 "동서 양분화는 지역의 큰 문제이자 숙원이다. 그러나 실현 가능성이 있어 긴 시간 기술 검토와 협의 과정이 필요하다. 조차장역 기존 기능을 어떻게 유지하고 어떤 곳으로 이전할 것이냐가 가장 큰 과제다. 꾸준히 기술검토와 후속조치를 논의하는 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