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원 세종시문화재단 공연사업본부장 |
공연 시작 전 오케스트라 부악장이 통역과 함께 마이크를 들고 멘트를 했다.
"우리는 이태원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을 애도하기 위하여 오늘 예정에 없던 'G선상의 아리아'를 추가 연주하기로 하였습니다. 추모곡으로 연주하는 만큼, 곡이 끝나면 박수를 지지 말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이 곡이 끝나고 나서 단원들의 묵념시간을 가질 예정이오니 관객 여러분들도 동참해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연주가 끝나고 2500명 관객 모두가 아무도 박수를 치지 않았으며, 제법 길었던 묵념에도 모두 동참하였다. 이후 당초 예정되어있던 곡들이 정상적으로 연주되었고 당연히 감동의 연속이었다.
사실 갑자기 서울예술의전당의 빈 필하모닉 공연을 관람하게 된 이유는 애도기간 동안 우리 극장의 기획, 대관 공연들이 취소 또는 연기가 되었고, 당일 평가를 위해 타 도시에서 보기로 되어있던 공연 역시 취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국가 애도기간 대부분 공공공연장에서의 공연이 자치단체의 결정 또는 극장 스스로에 의하여 취소 연기되었다. 필자가 본 공연이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민간이 기획한 세계 최고의 교향악단 공연이자 여러 사정으로 취소 연기 자체가 불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해외 연주단체의 애도 방법이 부럽다거나 우리의 문화 역량이 부족하다는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우리도 얼마든지 공연이나 행사 전에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신 젊고 아름다운 청년들을 위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할 수 있고, 그렇게 하고 싶었다는 얘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도대체 누가 우리의 애도는 사람들이 모이는 공연장에서는 안 되고, 이태원 현장이나 따로 마련된 분향소에서 해야 한다고 시켰나 생각해 보았다. 막상 아무도 시키지 않았을 것이라는 결론이었다.
대전예술의전당에 근무할 때 기획한 연극 '염쟁이 유씨'에 이러한 대사가 나온다.
"장례식장에서 각자 종교적인 이유로 절하지 말라고 하기도 하고, 기도하지 말라고 하는 거 있잖아, 그런 거 절대 하지 마. 고인을 위하여 절을 하든 기도를 하든 찬송을 하든 각자 마음속에 있는 최고의 방법으로 예의를 갖추어 애도하는 것이야. 그걸 가지고 이래라저래라 하는 것은 안 된다고 봐. 고인도 그런 걸 바라지 않아."
또 하나 기억나는 일화가 있다. 과거 한창 메르스가 기승을 부릴 때 행정안전부에서 전국의 문예회관 등 다중 집합시설에서의 행사 및 공연을 중지하라는 공문이 와서 지역문예회관 공연을 모두 취소한 경험이 있다. 물론 모두 기억하듯이 그 이후로도 다른 사건으로 몇 번이나 더 문을 닫았었다.
그때 충남 보령의 문예회관 담당자가 한 얘기. "아니 공연 때 앞만 보고 아무것도 안 하는 지방 공연장 관객들이 무슨 문제를 일으킨다고 그러는 건지, 정~ 사람 모이는 걸 막으려고 한다면 서울의 지하철을 당장 멈춰야 하는 거 아닌가?"
세월호 사고든 코로나든 언제든 그런 일이 일어나면 행정당국에서는 바짝 긴장하여 더한 문제가 없기 위하여 또는 확산을 막기 위하여 여러모로 검토하고 행정명령을 할 수도 있다. 다만 그러한 일이 생겼을 때 무조건 극장 문을 닫으라고 하는 건 그리 현명한 방법이 아닌 거라는 것이다. 누군가는 그 공연을 위하여 가진 열정을 다하여 준비했을 것이고, 수많은 사람이 오랜 시간 준비해온 노력을 하루아침에 없던 일이 되게 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건 그들의 삶이자 직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삶에서 각자의 방법대로 애도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