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가 15.7%였고 2025년에는 20.3%, 2051년에는 40%를 넘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2019년 기대수명 남성 80.3년, 여성 86.3년으로 평균 83.3년이며 지금 65세 이상인 사람은 평균 21.4년을 더 산다는 말이다.
빠른 고령화 속도만큼이나 노년기를 새로운 활동력과 행복의 시기로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도 시급하다. 노인 스스로 자신의 나이 듦을 쇠퇴로 받아들이며 사라져가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역경을 헤쳐 나가는 힘을 지닌 적극적이며 역동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인다.
노인은 정서적인 만족감이나 가까운 사람들과의 깊은 교류를 선호한다. 긍정적 감정에 초점을 두고 부정적 경험은 잊는 방식으로 감정을 조절해야 하며 아집을 버려야 한다고 필자가 강의 때마다 강조한 대목이다. 단지 노인은 허약하고 생산성이 낮으며 젊은 세대의 행복을 앗아가는 사회의 짐이 될 것이라는 선입견을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정책은 기본적으로 노인은 병약하고 자주 병원에 갈 수밖에 없다는 인식에 기초해 있다. 병약한 노인을 어떻게 치료하고 돌봐줄 것인가 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노인 스스로 적극적인 건강 관리를 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미약하다. 국가나 지자체가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적극 투자해 건강 수명을 5년 늘려도 젊은 세대가 내는 건강보험료를 줄일 수 있고 사회 전체의 사회적 부담인 노인 부양 부담은 더욱 크게 준다는 결과로 귀결된다.
노인 문제에 관한 발상의 전환을 위해 정부의 정책에 노인 '영향평가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성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고용문제 등 국가정책 전반이 노인 친화적 환경으로 설계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준비해야 된다는 논리다. 과거 정부는 노인 일자리라고 해봐야 기껏 단순 노무직에 생활비조차 대기에 빠듯한 낮은 임금을 받았다. 아니면 용돈 벌이도 되지 않는 자원봉사가 전부다. 노인 기준 연령 상향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합의 도출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는 1996년에 가입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나타난 노인 빈곤율이 최하위를 면치 못함이 이를 방증(傍證)하고 있어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할 방안 마련이 급선무다. 노인들은 우리사회의 물질문명에 기여해 세계 경제대국 10위권 반열에 진입토록 한 시민의 일원이자 생산적 잠재력이 충분한 사회적 동반자라는 인식을 가질 때만이 고령사회의 공포에서 벗어 날 수 있다.
오늘날 인류사회의 최대 난제로 떠오른 고령사회를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한 사회적 투자가 바로 노인정책임을 인식해야 할 시점이자 일하는 노인이 해법임을 강조하고 싶다.
/이길식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