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1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술 마시며 건강하게 살아남기'라는 주제로 신천식의 이슈토론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신천식 박사, 김종성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사진=윤주원 기자> |
'술 마시며 건강하게 살아남기'라는 주제로 21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는 김종성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가 참석해 의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강하게 술 마시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2 직장인 회식문화 관련 인식조사'(2022년 4월 13일~18일)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 이전 회식의 유형 중 10명 중 9명꼴인 87.6%가 '2차까지 술자리'라는 응답이 나왔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정서 중 하나인 '배려'에 관한 태도가 음주문화에서도 여실히 반영돼 술을 잘 못 마시는 사람도 분위기나 상대의 눈치를 보면서 어쩔 수 없이 마시는 경우가 있다"며 "술을 마셨을 때 얼굴색 변화를 잘 봐야 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물질이 체내에 반응하면서 피부색이 변하는 것이며, 붉은색으로 변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건강 손실이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회식 자리에서 흔히 마시는 '폭탄주'에 대해 김 교수는 "주로 맥주와 소주를 섞어 폭탄주를 만드는데, 의학적으로 맥주의 낮은 알코올 농도와 소주의 농도가 합쳐져 희석되는 농도로 체내에 흡수된다"고 덧붙였다.
예컨대, 소주 2~3잔은 혈중알코올농도 0.03으로 이성을 통제하는 '대뇌'를 마취시켜 말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소주 1명은 혈중알코올농도 0.1로 균형과 운동을 담당하는 '소뇌'를 마비시켜 운전했을 때 큰 위험이 따르게 된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이에 국내는 물론 미국 등 해외 여러 국가에서는 0.08부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소주 3병을 마시게 됐을 때 일명 '필름이 끊기는' 증상으로 '중뇌'가 마취됐기 때문이며, 혈중알코올농도 0.4가 되면 뇌의 깊숙한 기관으로 심장박동과 호흡을 주관하는 '연수'가 마취돼 사망률이 발생하는 수치이기도 하다는 설명이다.
음주로 인한 '숙취'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곁들이는 안주의 종류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교수는 "알코올의 흡수와 분해, 배출이라는 3단계로 볼 때, 흡수량을 적게 해주는 음식으로 고기나 우유 같은 단백질류를 추천한다"며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필요한 NAD(조효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으로 과일과 꿀, 콩나물 성분이 도움이 되며, 과당의 경우 최대 분해속도를 50%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좋은 음주법'에 대해 김 교수는 "소주나 맥주, 막걸리, 와인 등 술의 종류에 따라 마시는 잔의 모양이 다르다. 주류별로 1잔에 들어가는 순수알코올이 14g이라는 점에서 옛 선인들의 현명한 음주문화를 엿볼 수 있다"며 "2018년 기준 전 세계 의학단체들이 권고하는 음주량으로 20도 소주의 경우 최대 2병을 넘지 말아야 하며, 억지로 술을 권하는 분위기에서 서로의 몸 상태를 배려해 자유롭게 마시는 술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