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칼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농악'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인칼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농악'

김병곤(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 승인 2022-11-16 16:45
  • 신문게재 2022-11-17 19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김병곤=국악학박사(대전시립연정국악원지도위원)
김병곤(대전시립연정국악단 지도위원)
필자는 지난 6월 기재된 '판 문화'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소개하고자 우리 민족의 삶과 흥 그리고 민중들의 화합과 단합의 장이 된 판 문화 중 국민과 함께 살아온 '농악'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 민족의 삶과 애환이 그대로 녹아나 있는 농악에는 흥과 신명이 깃들어 있어 음악과 노래, 춤이 있는 종합예술의 성격을 지녔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장단들과 춤사위가 있으며, 지역별로 '판제'(농악 공연 때 걷거나 뛰거나 돌면서 여러 대형을 만들고 푸는 공연 작품)가 다르고 장단도 다르다.



농악이라는 용어 외에도 지역별로 '풍물', '풍장', '매구', '걸궁', '걸립', '두레', '굿' 등으로 불리다가 2014년 11월 27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농악'이라는 단어로 통일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지역의 용어를 그대로 쓰는 곳이 있다.

농악은 오랜 세월부터 우리 조상들의 생활 속 깊이 스며들어 뿌리박고 있는 전통 민속예술로 '악(樂)·가(歌)·무(舞)' 일체의 종합예술이다.



농악의 기원은 삼한시대의 문헌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東夷傳)'의 '마한조(馬韓朝)' 편에 소개되고 있다. 농악은 시대 변천에 따라 그 성격과 형태가 다르다. 농사 안택설과 걸립농악, 군사농악, 연예농악 등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농사 안택설은 농사철에 마을 사람들의 협동과 파종과 추수를 축원하며 가정의 매귀안택을 기원하는 일종의 축원 음악이다.

걸립농악은 조선시대 불교가 쇠약해지면서 재원이 궁핍해지자 절의 유지책으로 화주승 이하 수십 명이 단체를 이뤄 민가를 다니며 걸궁 또는 마당 밟기를 하며 절의 건립과 마을의 공익사업을 도모, 이후 취주악(나발, 태평소)이 따르면서 여러 잡색과 더불어 진풀이를 하여 본격적인 농악 형태로 발전하였다.

농악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크게 5가지로 나눈다.

먼저, '영동농악'의 대표 단체로 1985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된 '강릉농악'이 있으며, 춘천 등 강원도 지역의 농악이 많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경상도 지역을 일컫는 영남농악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진주삼천포 농악'이 1966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으며, 구미무을 농악 등 지역 문화재와 경상도 지역의 농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경기·충청 중심의 웃다리농악은 경기도 지역의 대표적인 농악인 '평택농악'으로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 11-2호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지방문화재로 광명농악, 동두천농악, 안성농악, 부천농악, 인천농악 등 경기도 일대에 고루 분포되어 다양한 공연을 펼치고 있다.

충청지역 웃다리 농악은 대전무형문화재 제1호인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와 충북 문화재인 청주농악보존회가 있으며, 세종의 조치원농악, 부강농악, 영동농악, 보은농악 등이 있으며, 충청남도의 서산농악, 논산두레농악, 결성농악, 보령농악 등 충청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 농악 중 경기·충청지역에서 활발히 연주되고 있는 웃다리 농악이 그 지역으로 볼 때 가장 넓은 지역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어 호남 좌도농악의 대표적인 국가무형문화재인 '임실필봉농악'은 1989년 제11-5호로 지정되었으며, 좌도 지역의 '구레잔수농악'은 2010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 '남원농악'은 2019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전라좌도농악은 국가무형문화재로 3개 지역이 지정되었으며, 특이한 것은 충남 금산에 있는 금산좌도 농악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53호로 등재되어 있다. 금산군이 1963년 전라북도로부터 충청남도로 편입되어 현재 충청이지만 금산의 농악은 전라좌도농악을 하고 있다. 전라도 산간지역으로 연결되어 무주, 장수, 진안, 임실, 남원, 구레, 곡성 등에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호남우도 농악으로 '이리농악'은 국가무형문화재로 1985년 등재돼 있으며,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는 정읍농악, 부안농악, 김제농악, 고창농악 등이 있다. 지역적 분포를 보면 함열, 익산, 전주, 김제, 정읍. 부안, 고창 등 주로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농악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