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에너지 위기는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에너지 위기는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 승인 2022-11-07 10:15
  • 신문게재 2022-11-08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무엇일까? 에너지다. 산업혁명과 더불어 에너지는 더욱 요긴해졌다. 풍요롭다 못해 넘치는 의식주, 현대의 찬란한 문명도 모두 에너지의 최대 수혜자라 할 수 있다.

그런 에너지가 위기를 맞았다. 러시아산 가스에 힘입어 승승장구하던 유럽의 산업은 엄청난 위협에 직면했다. 겨울에 직면한 유럽인의 삶은 장작과 난로가 상징하듯 중세로 돌아간 느낌이다. 가스와 전기 요금이 치솟은 탓이다. 전 세계의 에너지 시장도 직격탄을 맞았다. 우리와는 달리 유럽은 거리의 가로등뿐 아니라 마트도 개점시간을 단축하고 있다. 누구나 전기와 가스를 절약하고 싶겠지만 고객은 따뜻하고 밝은 것을 좋아한다.

겨울이 가까워지며 어둠도 한층 더 빨리 드리운다. 오후 5시에 벌써 해는 저물고 조명등이 켜진다. 그러니 전기가 많이 들고 비싸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추워지니 난방도 해야 한다. 그러나 치솟는 에너지 가격을 생각하면 얼마나 많은 빛과 열을 기대할 수 있을까.

이러한 참담한 상황에서도 전문가들은 새로운 전환점을 찾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 위기를 에너지의 전환이 속도를 낼 수 있는 기회로 본다. IEA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지구촌 에너지 위기는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계획이 실현된다면 청정에너지 투자는 2030년까지 연간 2조 달러로 50% 증가할 것이다.



한 가지 노력의 결실을 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석유 값은 너무나 저렴해서 기존의 히트 펌프는 값싼 석유 난방 시스템과는 비교 불가였다. 그러나 1973년 석유 파동으로 석유에 의한 난방비용이 300%나 치솟았다. 그래서 기존의 것을 더욱 개량하여 양산함으로써 CO2와 비용을 동시에 절약한 것이 지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히트 펌프 기술이었다.

스위스의 초콜릿 회사 매스트라니(Maestrani)는 냉난방 기술에 착안하여 자체 냉각 기계의 폐열을 콘칭 온도를 공급하는 히트 펌프에 사용한다. 매스트라니의 개량 히트 펌프는 현재는 냉기와 열기를 모두 효율적으로 생산한다. 이는 전체 공장의 에너지 소비를 20% 감소시켜 연간 170톤의 CO2 배출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1935년에 탄생한 냉동 기술은 히트 펌프와 원리가 같다. 전기냉장고는 내부를 식히고 외부로 열을 전도하는 반면, 히트 펌프는 외부에서 열을 추출하여 생활용 난방 에너지로 전도한다. 대형 히트 펌프를 설치하여 건물 난방에 적용한 사례가 스위스의 취리히 시청사이다. 1938년에 가동한 히트 펌프가 지금까지 가동 중이다. 취리히 구시가를 관통하는 리마트 강물을 열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비견되는 것이 2017년에 완공된 서울의 롯데월드타워이다. 높이 555m의 이 타워도 히트 펌프로 냉각과 가열이 되는데, 200m 깊이에서 지열 에너지를 얻고 한강물을 냉난방에 사용한다.

세계 최대의 해수 히트 펌프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1986년부터 가동 중이다. 6개의 대형 히트 펌프가 발트 해의 열기를 이용하여 지역난방 네트워크에 공급한다. 스톡홀름의 건물 약 60%가 현재 이 지역난방 혜택을 입고 있다.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는 폐수를 열원으로 사용한다.

전문가들은 에너지 시장과 에너지 정책은 향후 수십 년 동안 변화를 거듭할 것으로 예측한다. 현재의 정치적인 틀에서 보면, 석탄 사용은 향후 몇 년에 걸쳐 감소할 것이며, 천연 가스 수요도 10년 이내에 정체될 것이다. 더불어 전기 자동차의 판매 증가로 2030년대 중반이면 석유 수요도 꽤나 잦아들 것이다. 이는 작금의 에너지의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려는 지구촌 사람들의 부단한 노력과 동참이 수반될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대전 학교 내 성비위 난무하는데… 교사 성 관련 연수는 연 1회 그쳐
  1.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2.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3.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4. [사설] '대한민국 문화도시' 날개 달았다
  5. [사설] 교육 현장 '석면 제로화' 차질 없어야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