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린이들이 사춘기가 오는 시기가 빨라지며 '성조숙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성조숙증은 성장판이 일찍 닫혀 최종적으로 키를 작게 만들 수 있는 질환으로, 자녀가 초등학생 1~2학년 정도라며 별도 이상 증세가 없더라도 소아내분비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게 좋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오준석 교수(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
▲증상과 원인=성조숙증은 만 8세 미만의 여아에서, 만 9세 미만의 남아에서 사춘기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고, 보통 여아에서는 가슴 몽우리 발달을 통해, 남아의 경우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음모가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질 분비물 발생, 머리 냄새, 여드름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성조숙증의 원인은 뇌, 고환·난소 또는 부신 등의 종양을 비롯한 병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와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성으로 나뉘는데 최근 나타나는 성조숙증은 대부분 특발성이다. 환경적인 요인인 비만의 유병률 증가, 내분비교란물질의 노출 증가, 전자파, 시각적인 자극, 스트레스 등이 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오준석 교수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자아이가 만 8세 이전에 젖멍울이 만져지거나 아파할 때 △남자아이가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질 때 △최근 들어 키가 급격하게 자랐을 때 (6개월에 4cm이상) 등이다.
▲치료법은=성조숙증의 치료는 4주 간격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작용제를 예방접종처럼 주사해 사춘기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사춘기 발달을 또래와 맞추고 최종 성인키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약제 투여 후에는 사춘기 진행에 따른 급성장 정도가 감소되고 뼈 나이 증가도 저지된다. 일부 경우 2차성징의 쇠퇴가 일어나기도 한다. 치료가 계속되는 동안 성호르몬은 억제되어 있다가 적당한 시기에 치료를 중단하면 사춘기가 다시 진행하게 된다. 간혹 부작용을 걱정해 치료를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호르몬은 치료제로서 전 세계적으로 40여 년 이상 투약해 왔으며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입증된 약물이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
▲예방은 어떻게=첫째로 균형 잡힌 식습관이 중요하다. 성조숙증은 비만, 특히 지방세포의 와 연관이 있으므로 식사는 골고루 건강한 식단을 적당량만 먹도록 하고 되도록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특히,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최대한 피하고, 열량이 많으면서 영양가가 적은 패스트푸드는 가능한 먹지 않고, 밤늦은 시간에 야식을 먹는 것과 음료수도 피하는 것이 좋다.
둘째로 규칙적인 운동이다. 성장기의 소아나 청소년들이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비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운동이 모두 도움을 주지만, 줄넘기와 스트레칭 등을 규칙적으로 하면 키의 성장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규칙적으로 하도록 하며, 한 번 운동할 때에는 한 시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셋째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성조숙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으로 내분비교란물질이 연관돼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플라스틱 용기, 일회용 용기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넷째로, 밤 10시 이전에 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늦게까지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면 몸 안의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돼 멜라토닌의 성호르몬 억제 작용이 줄어들게 된다. 밤 10시 이후에는 아이가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어둡게 해주며 잠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끝으로 전자파 차단이다. 컴퓨터나 TV,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이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오준석 교수는 "성조숙증이 있으면, 또래보다 키도 크고 체격도 커진다"면서 "이런 경우 우리 아이가 잘 크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성호르몬의 조기 분비로 인해 다른 아이들보다 성장판이 일찍 닫히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키가 작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그만큼 치료 효과도 낮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확인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별도의 증상이 없더라도 자녀가 초등학교 1~2학년 정도라면 소아내분비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