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총장 임명의 중점 키워드는 '대학 생존' 문제다.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쏠림 현상 등 지역 대학이 겪고 있는 문제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인지, 이에 대한 미래 비전을 누가 가지고 있는지 등이 총장 임명시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배재대는 앞서 19일 총장 후보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에서 5명의 후보자는 대학 경영 방안 및 공약 등 구상을 밝혔고, 향후 대학 위기 속 극복 방안이 담겨 있기도 했다. 대전대 또한 최근 총장이 교체 됐다. 대전대 이사회 회의록엔 "남상호 후보는 어려운 시기에 우리 대학 생존을 위해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분"이라고 기록돼 있기도 하다.
하지만 충청권 국립대엔 위기를 극복할 수장이 없다.
한밭대 전 총장의 임기는 8월 16일부로 끝났지만, 차기 총장이 임명되지 않아 2개월이 넘도록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충북대도 3개월째 총장 공백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8월 1일 전 총장이 사직했으나, 교수와 직원, 학생 간의 총장 선거 참여 비율을 합의하지 못해 선거가 미뤄지고 있다.
13일 세종교육청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에서 관련 내용이 언급되기도 했다.
충남대는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해 '국립대 통합'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 의원은 "왜 상대 학교와 같이 논의를 시작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진행하냐"고 질의했다. 한밭대 자체적으로 통합 논의 시작 여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야 하나, 현재 총장 공백인 상태로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는 답변이 있었다. 또 다른 의원은 충북대 총장 선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조속한 선거 비율 합의를 요구하기도 했다.
국립대 총장 공백과 관련된 질의가 겉핥기 수준으로 그치면서 아쉬움이 컸다.
한밭대 총장이 선출됐음에도 임명되지 않았다. 대학의 장 임기 만료일 30일 전까지는 교육부 장관에게 추천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으나, 이후 관련 절차에 대해선 명시된 바가 없다. 대학은 규정에 따라 선거를 부랴부랴 치러야 하지만, 이후 절차는 정부에서 하세월이다. 관련 법령엔 허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제도나 법령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 국회의원들은 '대학 탓'만 하고 있었다. 진정으로 지역대학 위기에 공감하고 극복책을 고심하고 있는지도 의문이었다.
물론 총장이 공백이더라도 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각종 업무를 차질 없이 처리되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대학 위기를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리더가 필요할 테다. 수장 공백 문제를 정부가 강 건너 불구경인 모양새로 바라봐선 안 된다.
김소희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