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소행성 채굴로 우주 경제의 신기원을 이루자!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소행성 채굴로 우주 경제의 신기원을 이루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 승인 2022-10-13 16:04
  • 신문게재 2022-10-14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2주 전인 9월 27일에 우주에서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키는 실험을 한 것이다. 미국 나사는 디디모스 소행성과 쌍을 이뤄서 공전하고 있는 지름 160m, 질량 500만 톤의 소행성 디모포스에 다트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충돌시킨 것이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많이 존재하는데, 현재 발견된 소행성의 수는 무려 110만 개에 달하며 더 작은 것들까지 포함하면 수억 개가 될 것이다. 이들 중에는 궤도가 바뀌어 지구 가까이 돌진해 오는 것들이 심심치 않게 있다.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 전 지구적 재앙을 불러오게 된다. 공룡이 순식간에 멸종했던 것도 커다란 외계 물체가 충돌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충돌 이후 전 지구적으로 쓰나미가 일어났고, 화산이 분출해 화산재가 태양 빛을 가려 지구 전체가 냉각됐다. 불과 100여 년 전인 1908년에도 커다란 우주물체가 시베리아 산림지역에 떨어졌었는데, 그 위력은 20킬로톤 이상으로 15킬로톤의 히로시마 원자폭탄보다 더 컸다. 이러한 소행성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소행성이 지구를 비껴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시험을 다트 우주선으로 한 것이다.



소행성은 우리에게 위협적인 존재이지만 또한 기회의 대상이다. 소행성에는 희귀한 원소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리콘을 비롯해 금, 인듐 등의 30여 가지의 원소가 필요하며 희귀한 금속인 중원소도 사용된다. 희귀 원소들은 100년 이내에 고갈될 가능성이 높아 국가 간 자원 전쟁이 일어날 염려가 많다.

지구에도 중금속이 적지 않게 함유되어 있지만 대부분 지구 내부에 있어, 수천 킬로미터를 뚫고 캐 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지구보다 훨씬 작은 소행성에서는 중원소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쉽게 채굴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가의 중원소들을 지구에 가져올 수 있으면 자원을 더 풍부하게 사용하게 되어 산업과 경제가 더 발전하고 커질 것이다.



아직까지는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해 지구로 가져오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이를 위한 시험을 일본은 이미 시작하고 있다. 일본우주국은 2대의 우주선을 소행성에 보내 표본을 채취해 왔다. 하야부사 우주선을 이토카와 소행성에 보내서 토양을 채취한 후 2010년에 지구에 돌아왔다. 이후 2014년 12월에 발사된 하야부사2는 지름 900m의 소행성 류구의 토양을 채취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단순히 표면의 물질만을 채취한 것이 아니라 금속탄환을 발사하여 지름 15m의 인공 구덩이를 만들어 표면 아래의 물질도 채취했다. 지구로 돌아온 하야부사2는 2020년 12월에 호주의 사막에 샘플을 던지고는 또 다른 소행성을 탐사하러 떠났다.

미국 역시 소행성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2016년 9월에 발사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2020년 10월에 베누 소행성에 착지하여 표면 물질을 채취했다. 현재 지구에 돌아오는 중으로, 내년 9월에 샘플을 떨어뜨린 후 지구에 매우 가까이 오는 소행성인 아포피스를 탐사하러 갈 것이다. 미국 나사는 사이키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우주선도 제작하고 있다. 유럽의 강소국 룩셈부르크는 우주 채굴을 국가적 전략사업으로 규정하고 천문학자, 채굴 전문가 등과 함께 구체적인 채굴방법을 논의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소행성으로부터 우리는 지구 표면의 자원보다 훨씬 더 많은 중금속을 채취할 수 있다. 과거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던 것을 계기로 마야문명의 금은보화를 스페인이 차지했고, 이후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이 세계의 부와 권력을 장악했다. 앞으로는 소행성 채굴을 먼저 하는 국가가 우주를 제패하고 부와 패권을 가질 것이다. 우리도 소행성 채굴을 국가 우주개발의 중심과제로 정하고 집중해서 초일류 선진국으로 부상하기를 바란다.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4.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5.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