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소행성 채굴로 우주 경제의 신기원을 이루자!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소행성 채굴로 우주 경제의 신기원을 이루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 승인 2022-10-13 16:04
  • 신문게재 2022-10-14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2주 전인 9월 27일에 우주에서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키는 실험을 한 것이다. 미국 나사는 디디모스 소행성과 쌍을 이뤄서 공전하고 있는 지름 160m, 질량 500만 톤의 소행성 디모포스에 다트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충돌시킨 것이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많이 존재하는데, 현재 발견된 소행성의 수는 무려 110만 개에 달하며 더 작은 것들까지 포함하면 수억 개가 될 것이다. 이들 중에는 궤도가 바뀌어 지구 가까이 돌진해 오는 것들이 심심치 않게 있다.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 전 지구적 재앙을 불러오게 된다. 공룡이 순식간에 멸종했던 것도 커다란 외계 물체가 충돌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충돌 이후 전 지구적으로 쓰나미가 일어났고, 화산이 분출해 화산재가 태양 빛을 가려 지구 전체가 냉각됐다. 불과 100여 년 전인 1908년에도 커다란 우주물체가 시베리아 산림지역에 떨어졌었는데, 그 위력은 20킬로톤 이상으로 15킬로톤의 히로시마 원자폭탄보다 더 컸다. 이러한 소행성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소행성이 지구를 비껴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시험을 다트 우주선으로 한 것이다.



소행성은 우리에게 위협적인 존재이지만 또한 기회의 대상이다. 소행성에는 희귀한 원소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리콘을 비롯해 금, 인듐 등의 30여 가지의 원소가 필요하며 희귀한 금속인 중원소도 사용된다. 희귀 원소들은 100년 이내에 고갈될 가능성이 높아 국가 간 자원 전쟁이 일어날 염려가 많다.

지구에도 중금속이 적지 않게 함유되어 있지만 대부분 지구 내부에 있어, 수천 킬로미터를 뚫고 캐 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지구보다 훨씬 작은 소행성에서는 중원소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쉽게 채굴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가의 중원소들을 지구에 가져올 수 있으면 자원을 더 풍부하게 사용하게 되어 산업과 경제가 더 발전하고 커질 것이다.



아직까지는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해 지구로 가져오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이를 위한 시험을 일본은 이미 시작하고 있다. 일본우주국은 2대의 우주선을 소행성에 보내 표본을 채취해 왔다. 하야부사 우주선을 이토카와 소행성에 보내서 토양을 채취한 후 2010년에 지구에 돌아왔다. 이후 2014년 12월에 발사된 하야부사2는 지름 900m의 소행성 류구의 토양을 채취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단순히 표면의 물질만을 채취한 것이 아니라 금속탄환을 발사하여 지름 15m의 인공 구덩이를 만들어 표면 아래의 물질도 채취했다. 지구로 돌아온 하야부사2는 2020년 12월에 호주의 사막에 샘플을 던지고는 또 다른 소행성을 탐사하러 떠났다.

미국 역시 소행성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2016년 9월에 발사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2020년 10월에 베누 소행성에 착지하여 표면 물질을 채취했다. 현재 지구에 돌아오는 중으로, 내년 9월에 샘플을 떨어뜨린 후 지구에 매우 가까이 오는 소행성인 아포피스를 탐사하러 갈 것이다. 미국 나사는 사이키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우주선도 제작하고 있다. 유럽의 강소국 룩셈부르크는 우주 채굴을 국가적 전략사업으로 규정하고 천문학자, 채굴 전문가 등과 함께 구체적인 채굴방법을 논의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소행성으로부터 우리는 지구 표면의 자원보다 훨씬 더 많은 중금속을 채취할 수 있다. 과거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던 것을 계기로 마야문명의 금은보화를 스페인이 차지했고, 이후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이 세계의 부와 권력을 장악했다. 앞으로는 소행성 채굴을 먼저 하는 국가가 우주를 제패하고 부와 패권을 가질 것이다. 우리도 소행성 채굴을 국가 우주개발의 중심과제로 정하고 집중해서 초일류 선진국으로 부상하기를 바란다. 김영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3.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4.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5. 천안문화재단, 모차르트 오페라 '코지 판 투테' 재창작 공연 개최

헤드라인 뉴스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을 운영할 주체가 최근 결정되면서 대전 시민들의 고속·시외버스 운송체계가 동구 용전동과 유성구 구암동의 두 개의 복합터미널의 양강 체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대전교통공사는 11월 19일 주식회사 루시드 및 금호고속주식회사와 유성복합터미널의 공동운영사로 결정하고 5년에 추가 5년 연장 가능한 계약을 체결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2010년부터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4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하고, 2020년 대전시의 공영개발로 전환됐다. 시가 사업비 449억 원을 투입해 버스 15대가 동시에 승객을 승하차하는 플랫폼을 갖추고..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