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40강 타초경사(打草驚蛇)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40강 타초경사(打草驚蛇)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2-10-1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140강: 打草驚蛇(타초경사) : 풀을 쳐서 뱀을 놀라게 하다.

글 자 : 打(칠 타, 때리다) 草(풀 초) 驚(놀랄 경) 蛇(뱀 사)

출 처 :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酉陽雜俎). 병법(兵法)삼십육계(三十六計)

비 유 : 주변을 경고함으로 당사자를 각성케 한다. 가벼운 도발이나 거짓 공격으로 도망케 한다.



중국 당나라 때 왕노(王魯)라는 지방관이 있었다.

그는 당도(當途/ 지금의 안휘성)의 현령으로 있으면서 갖은 편법으로 재산을 긁어모았다. 이로 인하여 관가의 말단부터 고위직에 이르기까지 너 나 할 것 없이 뒷구멍으로 뇌물을 받고 공갈까지 치는 등 악행이 만연했고, 백성들의 원망소리가 거리에 흘러 넘쳤다.

어느 날 왕노는 관가에 들어온 각종 민원서류를 검토하다가 자기 예하의 주부(主簿)라는 벼슬에 있는 자를 고발하는 서류를 발견했다. 연명으로 올린 고발장에는 사리사욕을 채우려 갖은 불법을 저지른 위법사실이 여러 증거들과 함께 조목조목 밝혀져 있었다.

이 일들은 사실 현령인 왕노와도 관계가 있었고, 추궁해 들어간다면 대부분이 자신과 직접 관련이 되어있음이 밝혀질 판이었다. 이에 왕노는 서류를 천천히 살피면서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그는 속으로 이렇게 생각했다.

"이거 재미가 없군, 앞으로 조심해야지! 다행히 이것이 내 손에 들어왔기에 망정이지" 그는 다 읽고 난 다음 즉시 여덟 자로 풀이를 했다고 한다.

"여수타초(汝雖打草) 오이사경(吾已驚蛇), 곧 풀 속에 숨어있는 뱀은 풀이 흔들리면 이내 놀라 달아나게 마련이다." 주부가 고발당한 것은 풀이 흔들리는 것에 해당되고, 자신이 고민하는 것은 놀란 뱀의 신세와 같다고 토로한 것이다.

여기에서 '타초경사(打草驚蛇, 풀을 쳐서 뱀을 놀라게 한다)'라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주변 사람을 징계함으로써 당사자를 각성하게 한다'는 뜻이다. 고발장에 놀란 현령이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했으니 백성들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 셈이다.

이 고사성어의 의미는 다른 비유로도 쓰인다.

병법(兵法)에서는 '변죽을 울려 적의 정체를 드러나게 하는 것'을 일컫는다. 삼십육계의 한 계략으로, 적 스스로 실체를 보이도록 유인하는 전술이다. 이럴 때 가벼운 도발이나 거짓 공격으로 공포를 느끼게 해서 도망가게 한다.

'삼십육계'에 나오는 타초경사의 대표적 사례는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마오쩌둥은 반공사조(反共思潮)완화정책으로 명방운동(鳴放運動)을 펴 지식인과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준다고 선포했다. 명방운동은 '온갖 꽃이 같이 피고 많은 사람이 각기 주장을 편다(백화제방 백가쟁명: 百花齊放 百家爭鳴)'는 구호로 표현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또 "말한 자는 죄가 없고, 들은 자는 반성해야 한다"며 잘못이 있다고 생각되면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과감히 비판하라고 독려했다. 이를 믿고 공산당을 비판하자, 마오쩌둥은 반공(反共)적 지식인들을 체포해 정풍운동(整風運動)이란 명분 아래 줄줄이 숙청했다. 백화제방과 백가쟁명이란 미끼로 뱀으로 비유되는 지식인들을 숲에서 끌어낸 것이다.

출범 다섯 달밖에 안 된 새 정부는 자체권력 선점 쟁탈과 야당의 국정 발목잡기의 난맥으로 매우 시끄럽다. 특히 국민의 눈에 비치는 당정의 분란과 인사 혼란으로 허둥대는 대한민국의 지휘부, 민생은 뒷전이고 권력다툼에만 몰두하는 이 시대 자칭 엘리트라고 자처한 국회의원들, 거짓 선동과 편 가르기에 앞장서 행동하는 이적행위(利敵行爲)들, 국가 실익보다 사리사욕에 눈 먼 모리배들….헤아릴 수 없이 구질구질하다.

위정자들은 여야가 서로 두드리는 풀의 흔들림에 놀라 숨는 뱀의 경우와 같은 행동을 하고 있다. 놀라 달아나는 뱀은 쉽게 사람에게 잡힌다. 국민들은 놀라 달아나는(죄지은 자들) 위정자들부터 하나하나 심판의 막대기를 휘두를 것이다.

아무쪼록 요(堯)순(舜) 시대의 태평성대는 아니더라도 위정자 모두는 힘을 합쳐 최소한 국민이 불안하고 장래를 걱정하지 않는 사회를 이룩해야 할 것 이다.

협치(協治)! 말로만 하는 협치는 오히려 안 하는 것만 못한 것을….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