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떡 해봤어?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떡 해봤어?

  • 승인 2022-10-05 08:2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1004_170138004
지난 봄 보문산에 갔다 내려오던 중 대사초등학교 뒤 비탈에서 아주머니들이 뭘 뜯고 있는 걸 봤다. 그 곳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아 온통 무성하게 자란 쑥밭이었다. 아주머니들은 높이 자란 줄기 끝 연한 쑥만 부지런히 땄다. 며칠 후면 '곡우'라 쑥떡을 해먹을 참이란다. 곡우에 딴 어린 찻잎이 최고라는데, 이 봄이 다 가기 전에 진한 쑥향으로 버무린 떡이라. 봄에는 쑥떡만 한 게 없다. 마침 나도 비닐봉지가 있어 꾹꾹 눌러 한 가득 뜯었다. 그걸 끓는 물에 데쳐 하루동안 담갔다가 꼭 짜서 냉동실에 넣었다. 이제나 저제나 언제 해먹을까 하다 얼마 전 중앙시장 떡방앗간에서 멥쌀가루 한 되를 사왔다. 방앗간에서 쑥과 쌀가루를 기계로 섞어 반죽을 하면 수월하지만 난 온전히 내 손으로 하고 싶은 열망에 사로잡혔다.

일단 얼린 쑥덩이를 녹여 칼로 최대한 쫑쫑 썰었다. 따뜻한 물을 쌀가루에 조금씩 넣으면서 반죽을 했다. 그런 다음 쑥을 넣고 계속 치댔다. 햐, 보통 일이 아니었다. 어깨와 손목이 뻐근했다. 드디어 녹색의 반죽 한 덩이가 됐다. 먼저 쑥개떡을 열 개 정도 만들었다. 송편은 빚기 번거로워 반죽을 조그맣게 떼어내 완두 비슷한 이집트콩과 강낭콩을 섞어 주무른 '막떡'도 완성했다. 손재주가 좋은 엄마가 빚은 송편은 기계보다 정교하고 모양이 막 피기 직전의 연꽃봉오리 같았는데. 자, 이제 쪄볼까? 찜기에 면 보자기를 깔고 떡을 가지런히 얹어 김이 푹푹 나는 걸 지켜보자니 조바심이 났다. 잘 됐을까? 뜨거운 떡을 꺼내놓고 김이 식은 후 맛을 봤다. 얼래? 아무 맛이 안 났다. 소금과 설탕을 너무 적게 넣은 것이다. 막떡은 콩이 있어 먹을 만한데 개떡은 여엉. 그래도 씹으면 쑥의 섬유질이 풍부해 식감이 제대로 났다.

지지난주 토요일, 봄부터 벼르던 대둔산에 갔다. 전날 만든 떡과 과일 등을 잔뜩 싸들고서. 버스에서 내려 산을 올려다봤다. 봉우리들의 위용이 남달랐다. 헉헉거리며 마의 90도 계단에 다다랐다. 말그대로 수직으로 된 계단이다. '임신부나 노약자는 오르지 마시오' 라는 표지판을 보자 심장이 쫄밋거렸다. "얼른 오이소. 므은 남자가 겁이 저리 많은지, 참말로." 빨간 등산복을 입은 60대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남편을 채근했다. 아저씨는 결국 샛길로 따로 올라갔다.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갔다. 여기선 위도 옆도 보면 안된다. 아래는 더더욱 보면 안된다. 계단에 몸을 밀착시키고 앞만 보고 '이 순간은 곧 지나가리라' 주문을 외면서 한 발짝씩 떼었다.

정상에 올라 탁 트인 사방을 보니 희열감에 몸이 짜릿했다. 이거야말로 오르가슴 아닌가. 정상에서 조금 내려와 편안한 그늘에 앉아 먹을거리를 배낭에서 꺼냈다. 쑥떡을 먹었다. 태어나서 처음 만든 떡! 20% 부족하지만 내가 만든 떡이라서 애정이 갔다. 꿀떡꿀떡 잘도 넘어갔다. 오래 전 명절에 떡을 먹으면서 엄마한테 떡이 너무 좋다고 하니까 엄마가 빙그레 웃으며 대꾸했다. "너도 나 닮아서 떡을 좋아하는구나." 올 가을 농민들이 애써 가꾼 벼를 갈아엎었다. 농민에게 벼농사는 자식 키우는 거와 똑같다. 그런 쌀이 껌값 만도 못하다. 쌀값 폭락을 농민 탓하는 정부의 무지에 한숨이 나온다. 다행히 정부가 45만t을 사들여 급한 불은 껐지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갈수록 줄어드는 수요도 문제다. 영양학적으로 손색없는 우리 쌀을 많이 먹는 것도 해결책이다. 뜨끈하고 말간 갈비탕에 윤기 자르르 흐르는 밥 한공기 말아 먹는 맛. 늙은 호박고지와 밤, 곶감, 대추, 온갖 콩이 들어간 영양찰떡을 먹는 행복. 지난 토요일 성심당을 지나다 놀라 자빠질 뻔 했다. 인산인해였다. 대한민국 최고의 빵집 성심당이 쌀빵을 만들어 팔면 대박 날텐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