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얼린 쑥덩이를 녹여 칼로 최대한 쫑쫑 썰었다. 따뜻한 물을 쌀가루에 조금씩 넣으면서 반죽을 했다. 그런 다음 쑥을 넣고 계속 치댔다. 햐, 보통 일이 아니었다. 어깨와 손목이 뻐근했다. 드디어 녹색의 반죽 한 덩이가 됐다. 먼저 쑥개떡을 열 개 정도 만들었다. 송편은 빚기 번거로워 반죽을 조그맣게 떼어내 완두 비슷한 이집트콩과 강낭콩을 섞어 주무른 '막떡'도 완성했다. 손재주가 좋은 엄마가 빚은 송편은 기계보다 정교하고 모양이 막 피기 직전의 연꽃봉오리 같았는데. 자, 이제 쪄볼까? 찜기에 면 보자기를 깔고 떡을 가지런히 얹어 김이 푹푹 나는 걸 지켜보자니 조바심이 났다. 잘 됐을까? 뜨거운 떡을 꺼내놓고 김이 식은 후 맛을 봤다. 얼래? 아무 맛이 안 났다. 소금과 설탕을 너무 적게 넣은 것이다. 막떡은 콩이 있어 먹을 만한데 개떡은 여엉. 그래도 씹으면 쑥의 섬유질이 풍부해 식감이 제대로 났다.
지지난주 토요일, 봄부터 벼르던 대둔산에 갔다. 전날 만든 떡과 과일 등을 잔뜩 싸들고서. 버스에서 내려 산을 올려다봤다. 봉우리들의 위용이 남달랐다. 헉헉거리며 마의 90도 계단에 다다랐다. 말그대로 수직으로 된 계단이다. '임신부나 노약자는 오르지 마시오' 라는 표지판을 보자 심장이 쫄밋거렸다. "얼른 오이소. 므은 남자가 겁이 저리 많은지, 참말로." 빨간 등산복을 입은 60대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남편을 채근했다. 아저씨는 결국 샛길로 따로 올라갔다.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갔다. 여기선 위도 옆도 보면 안된다. 아래는 더더욱 보면 안된다. 계단에 몸을 밀착시키고 앞만 보고 '이 순간은 곧 지나가리라' 주문을 외면서 한 발짝씩 떼었다.
정상에 올라 탁 트인 사방을 보니 희열감에 몸이 짜릿했다. 이거야말로 오르가슴 아닌가. 정상에서 조금 내려와 편안한 그늘에 앉아 먹을거리를 배낭에서 꺼냈다. 쑥떡을 먹었다. 태어나서 처음 만든 떡! 20% 부족하지만 내가 만든 떡이라서 애정이 갔다. 꿀떡꿀떡 잘도 넘어갔다. 오래 전 명절에 떡을 먹으면서 엄마한테 떡이 너무 좋다고 하니까 엄마가 빙그레 웃으며 대꾸했다. "너도 나 닮아서 떡을 좋아하는구나." 올 가을 농민들이 애써 가꾼 벼를 갈아엎었다. 농민에게 벼농사는 자식 키우는 거와 똑같다. 그런 쌀이 껌값 만도 못하다. 쌀값 폭락을 농민 탓하는 정부의 무지에 한숨이 나온다. 다행히 정부가 45만t을 사들여 급한 불은 껐지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갈수록 줄어드는 수요도 문제다. 영양학적으로 손색없는 우리 쌀을 많이 먹는 것도 해결책이다. 뜨끈하고 말간 갈비탕에 윤기 자르르 흐르는 밥 한공기 말아 먹는 맛. 늙은 호박고지와 밤, 곶감, 대추, 온갖 콩이 들어간 영양찰떡을 먹는 행복. 지난 토요일 성심당을 지나다 놀라 자빠질 뻔 했다. 인산인해였다. 대한민국 최고의 빵집 성심당이 쌀빵을 만들어 팔면 대박 날텐데.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