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플라즈마의 내의 태풍을 잠재우는 기술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플라즈마의 내의 태풍을 잠재우는 기술

남용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22-09-29 14:27
  • 신문게재 2022-09-30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남용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임연구원
남용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얼마 전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으로 많은 국민이 큰 피해를 보았다. 적도 근처의 더운 바다에서 발생한 태풍이 굳이 북쪽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끌고 올라와 비와 바람을 쏟아내는 게 야속하기도 하다. 시시각각 방향을 바꾸며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이는 태풍의 진로를 마음 졸이며 지켜보다 보면 기도라도 드리고 싶은 기분이 든다. 그만큼 태풍을 직관적으로는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열은 뜨거운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에너지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퍼져야 한다. 그런데 왜 태풍의 거대한 에너지는 주변으로 흩어지지 않고 똘똘 뭉쳐서 북쪽으로 올라오는 걸까. 물론 태풍은 크게 보면 저위도의 높은 에너지를 고위도로 옮겨 주는 자연스러운 과정이기도 하다. 하지만 왜 그런 에너지가 균일하게 밀려 올라오는 대신 태풍이라는 과격한 형태로 전달이 되는지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한 가지 원리는 회전운동에 있다. 지구 자전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회전운동 덕분에 태풍의 엄청난 에너지는 한쪽으로 날아가거나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빙글빙글 도는 형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지지부진하던 에너지의 이동이 우연히 만들어진 태풍이라는 형태로 급격히 촉진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아무리 그래도 이 정도 설명으로 태풍의 원리를 이해하기는 힘들다.

핵융합을 설명할 때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 에너지의 전달이다. 정확히 말하면 핵융합에서는 전달보다는 가둠이 중요하다. 핵융합 플라즈마의 성능은 보통 밀도와 온도 그리고 가둠시간의 세 가지 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중 밀도와 온도는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핵융합을 일으키는 입자의 개수가 많으면 밀도가 높고 각각의 에너지가 높으면 온도도 높다. 그런데 가둠시간은 그렇게 간단히 설명하기 어렵다.

토카막 내의 플라즈마는 핵융합 반응을 원활히 일으키기 위해 1억 도가 넘는 엄청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플라즈마를 그대로 놔두면 당연히 주변으로 에너지와 입자가 빠져나가며 온도가 식어 버린다. 자기장을 이용하여 도망가지 못하도록 붙들고 있기는 하지만 조금씩 새어나가는 건 어쩔 수 없다. 가둠시간이란 이처럼 플라즈마를 그냥 내버려 두었을 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말한다. 이는 실제로 플라즈마를 지속시킨 시간과는 다르다. 한국의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인 KSTAR는 1억 도의 플라즈마를 30초 이상 운전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추가적인 가열 등을 통해 온도를 유지한 것으로 가둠시간은 이보다 훨씬 짧다. 보통 핵융합을 위해서는 최소 1.5초 이상의 가둠시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가둠시간은 플라즈마를 어떠한 구조로 만들어 주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모드라고 한다. 1982년 플라즈마의 가둠 성능을 2배 이상 끌어 올리는 H-모드(High-Confinement mode·고성능 플라즈마 운전모드)가 발견되어 인류는 핵융합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었다. 그러나 H-모드는 가둬두었던 에너지가 일시에 폭발적으로 방출되는 경계면 불안정 현상 때문에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자의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얼마 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서울대의 공동연구팀은 파이어(FIRE·Fast Ion Regulated Enhancement)라는 새로운 운전 모드를 발견했다. 이는 플라즈마 내에서 매우 빠르게 가속된 고속 이온이 내부의 에너지를 밖으로 빼내는 난류를 안정화하는 현상이다. 말하자면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옮기는 태풍을 쏘아 없애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플라즈마 내의 난류는 무조건 나쁘지는 않고 잘 이용하기만 하면 도움이 되므로 이는 너무 거친 비유이기는 하다. 아직 나아갈 길은 멀지만 우리나라가 초전도 토카막인 KSTAR를 앞세워 새로운 운전 모드를 제안하고 있다는 사실은 무척 고무적이다. 미래의 누군가가 핵융합으로 노벨상을 받을 때 그게 한국인일 수도 있다는 상상은 이제 더 이상 꿈이 아니다. 남용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