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교육지원청 이미선 장학사 |
출근해서 내가 매일 하는 일은 칠판에 영어와 한글을 섞어 적는 일이다. 아이들은 영어단어를 읽고 한글을 영어로 바꾼 후 알파벳을 배열해 단어를 쓴다. 가령, Baby를 써 놓으면 '베이비'라 읽고 '아기'라고 쓴다. 또 '손'을 읽고 'Hand'라고 알파벳을 배열해 단어를 쓴다.
4학년 교실에서 보기 힘든 이 기이한 광경은 담임을 시작한 후 5월부터 시작됐다. 첫 영어시간에 아이들에게 알파벳 대소문자를 써보라고 하였다. 놀랍게도 9명 중 겨우 두 명만이 순서가 다소 뒤바뀐 채 그런대로 썼고, 나머지 아이들은 대문자 'G'벽을 넘지 못했고, 소문자는 더 처참했다. 원어민교사가 일주일에 두 번씩 수업지원을 했지만 아이들에게 영어는 외계어였고, 영어수업은 한없이 따분하고 무기력한 시간이었다.
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영포자'로 만들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이미 아이들이 하고 있는 '거꾸로 교실'과 함께 영어 파닉스를 가르치기로 했다. 파닉스의 기본원리를 알려주고 단자음과 단모음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를 읽도록 하였다. 처음에는 철저하게 파닉스 기본에 맞는 단어만을 선택해 가르쳤다. 이후에 기본에서 벗어난 단어가 나오면 새삼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인가를 비교하며 파닉스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아이들은 손수 만든 알파벳 조각을 조합해 내가 말하는 영어단어를 만든 후 읽고 쓰는 활동을 했다. 이른바 '흰 것은 종이요, 검은 것은 글자'로 알았던 영어가 아이들에게 즐거운 놀잇거리가 되면서 서서히 영어문맹에서 탈출하기 시작했다. 늘 새로운 단어를 제시해 달라고 졸랐고 수준이 어려울수록 배움의 희열은 더 크게 보였다. 파닉스 원리에 따라 'Telephone'을 'Telefon'으로 만들지언정 영어는 더 이상 어렵고 지루한 공부가 아니었다.
나는 가끔 '거꾸로 교실'에 선생님이나 학부모를 초대해 영어인터뷰를 하였다. 이른바 '블라인드 손님'이 있는 날은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고 기다리는 수업이었다. 거꾸로 교실에 참여한 분을 알아맞히기 위해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어를 최대한 동원했고, 때로는 질문지를 준비해 오기도 했다. '너무 어려우니 힌트를 달라.'는 엄살을 부리면서도 아이들은 열광했다. 아이들은 스스로가 영어를 읽고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면서 원어민교사와 짧은 회화를 시도하는 등 열정 넘치는 아이들로 변했다.
나는 아이들을 5학년까지 가르쳤다. 6학년이 되어도 아이들은 여전히 우리 반을 드나들었고, 방과 후에는 교실에 들러 수다를 떨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이들이 떼로 와서 담임도 아닌 나에게 영어책 읽기 동아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아이들은 미리 만들었다는 '영어꿀꺽 동아리' 이름과 영어를 꿀꺽 삼켜 잘 소화하자는 거창한 의미도 설명했다.
우리는 일주일에 세 번 방과 후에 영어책을 읽었다. 돌아가며 한 줄씩 읽고 뜻을 해석해 보기도 했다. 욕심많은 아이들은 구글번역기로 읽을 내용을 엉뚱하게 해석해 오기도 했다. 동아리 시간에는 아이들의 관심거리, 고민, 학교생활 등 영어책 읽기 외에도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작은 학교에서 볼 수 있는 가족같은 친밀함은 지금도 미소짓게 한다. 졸업식 날 아이들이 준 엽서에 '선생님과 함께했던 영어공부가 학교생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었어요.'라고 쓴 글을 보고 눈시울을 글썽이기도 했다. 아이들은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진 미래의 보물이다. 그 보물을 어떻게 키우고 가르쳐야 하는가는 교사가 된 순간부터 가져야 할 소명일지도 모른다. 가르친다는 것은 멋지고 아름다운 일임과 동시에 인간이 성숙해가는 또 하나의 길이 아닌가 싶다. /청양교육지원청 이미선 장학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