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기영 대전시수의사회장 |
정기영 대전시수의사회장(정동물병원장)은 대전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이사로서 운영을 지켜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에 제도개선을 대전시에 여러 차례 요청했다. 또 수의사회 회원들이 나서 야간에 구조된 야생동물 진료를 지원해 구조관리센터 어려움을 덜어주기도 했다. 그러나 애완동물을 주로 진료하는 일반 동물병원에서 특성이 전혀 다른 야생동물을 진료하고 돌보는 일은 큰 희생이 뒤따랐다.
정기영 회장은 "수의사회 회원들이 운영하는 동물병원을 중개해 야생동물 야간진료를 제공했으나, 일반 소규모 동물병원에서 야생의 동물을 받은 다음날은 다른 진료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어려움이 뒤따랐다"며 "종마다 특성이 다른 야생동물의 치료부터 안전하게 계류하는 것 그리고 소음과 냄새에 따른 주변 민원까지 민간 동물병원이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라고 밝혔다. 그러한 이유에서 애완동물 아닌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분야에서만큼은 공공의 역할이 확실히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전시 동물보호센터가 유성구 금고동의 넓은 부지로 이전해 애완견 등이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것 만큼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도 필요한 시설을 적합하게 갖출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다친 야생동물이 재활할 수 있도록 특성에 맞는 재활공간이 조성돼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현재 충남대학교 내에 마련된 구조관리센터에는 대표적으로 조류가 날개를 펼치고 활공할 수 있는 계류장이 마련되지 않아 제약이 따르고 있다.
정 회장은 "야간이나 공휴일에 야생동물 진료와 보호를 지금은 일부 수의사의 사명감에 의존해 운영되고 있으나 다양한 생물종을 보전하고 조사와 연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정부의 역할이 더 확대돼야 한다"라며 "반려동물에 대한 관리체계를 갖춘 것만큼 야생동물에 대한 구조와 보호도 체계를 갖추고 예산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