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국힘 정책위의장인 성 의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방안'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힌 뒤 "민간의 투자를 막는 규제를 신속하게 해소하고, 세제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하며 국회 차원에서의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에너지 신산업 중 소형원자로, 수소연료전지 등 민간이 주도하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면 에너지 신산업의 창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선 서울대 박상욱 교수(좌장), 연세대 조영상 교수, 가천대 손성용 교수, 서울대 이종수 교수 등 학계 전문가를 비롯해 산업부 문병철 신산업 분산에너지 과장, 서울시 임미경 녹색에너지과장, 기후변화센터 김소희 사무총장 등 정부와 시민단체 전문가들이 함께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연세대 조영상 교수는 "에너지 신산업은 분산화·변동성·유연성이 핵심이며, 기존 기술(태양광, ESS, 연료전지 등)과 연계를 통한 새로운 모델 창출이 필요한데 중장기적으로는 신재생 및 수요반응 자원을 엮을 수 있어 에너지 신산업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가천대 손성용 교수는 "에너지 신산업의 상당수 모델이 중소규모분산형 에너지에 기반하고 있어 이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치 재평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이종수 교수는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는 합리적인 정책 로드맵을 설계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하며, 관련 규제의 완화, 공정한 시장의 규칙과 보상체계를 만드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문병철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친환경·분산 전원의 확대로 발전부터 소비까지 전력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성일종 정책위의장과 같은 당 이철규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했고, (사)한국혁신학회가 주관했으며, 산업부가 후원했다.
서울=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