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자 : 鷄(닭 계), 肋(갈비 륵, 갈빗대 륵)
출 전 :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 유 : 어떤 것을 취해보아도 이렇다 할 이익은 없지만 버리기는 아까운 것
위 성어는 많은 사람들이 애용(愛用)하고, 회자(膾炙)되는 고사성어 중의 하나이다.
위(魏)나라 조조(曹操)가 촉(蜀)나라 유비(劉備)를 치기 위해 한중(漢中)으로 진격했다.
조조는 사곡(斜谷)의 입구에 주둔했다.
서기 219년, 한중(漢中)에서 조조가 유비와 격전을 벌이는데 제갈량(諸葛亮)의 신출기묘(神出奇妙)한 작전술로 조조의 전황이 점점 불리해지자 조조는 '군사를 물려서 한중을 포기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었다.
이에 조조는 둔병을 한 지 오래되어 군사들을 진격시키자니 마초(馬超)가 굳게 지키고 있어 진격이 어렵고, 군사들을 거두어 돌아가자니 촉(蜀)나라 유비의 군사들에게 웃음거리가 될 것 같아 마음속으로 망설이며 결정을 내릴 수가 없었다.
그런데 마침 취사병이 저녁식사에 닭국을 들여왔다.
조조는 그릇에 있는 닭갈비를 보고 마음 속에 어떤 느낌을 받았다.
조조가 머뭇거리고 있는데 마침 하후돈(夏侯惇)이 군막에 들어와 야간 군호(軍號)를 물었다. 조조는 입에서 나오는 대로 내뱉었다. "계륵이라고 해, 계륵"이라고 하자 하후돈이 모든 군관들에게 '계륵'이라고 야간군호(夜間軍號)를 전달했다.
이는 조조가 환군(還軍)하여야겠다. 하고 속으로 생각하며 무심코'계륵(?肋-닭갈비)'이라는 영을 내리니 관속들은 무슨 뜻인지 알지 못했다.
그런데 주부(主簿) 양수(楊脩)만이 그 속뜻을 알아듣고 스스로 군장을 엄히 꾸리니 하후돈이 놀라 양수에게 물었다,
"무엇 때문에 짐을 꾸리는가?"
양수가 말했다,
"왕이 계륵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무릇 계륵(?肋)은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얻을 것이 없는 것으로 이를 한중(漢中)에 비유한 것이니 왕께서 환군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았소이다."
하후돈이 그럴듯하게 여겨 전군에 철군을 위한 짐을 꾸리도록 명령했다.
그런데 저녁 식사를 마친 조조가 잠시 영내를 순찰하다가 병사들이 짐을 싸고 철군 준비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하후돈을 불러
"무엇 때문에 군사들이 짐을 싸고 있는가?"라고 묻자 하후돈이 답하기를
"양수가 암호를 듣고 왕의 명령으로 곧 철군을 할 테니 미리 짐을 싸두라고 해서 군사들에게 지시하여 군사들이 짐을 싸고 있습니다"라고 보고하였다.
조조는 평소에도 정치적으로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보고체계를 무시하고 멋대로 움직이는 양수에게 괘씸함과 분노를 느껴 양수를 '군의 사기를 동요시킨 죄'로 처형했으며 하후돈도 하마터면 목이 날아갈 뻔했다. 이어 조조는 전투 중 촉의 명장 위연(魏延)이 쏜 화살에 인중을 맞고 앞니가 나간 뒤, 결국 한중을 공략하는 게 힘들다고 판단하고는 군사를 물렸다. 양수의 판단이 맞은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조조는 평소에 닭고기에 한방 재료를 넣고 만든 보양식을 챙겨먹으며 건강관리를 했다는데, 이를 후세에 '조조 닭'이라고 불렀다. 닭하고 꽤나 인연이 있는 듯하다.
우리말 속담에 "저 먹자니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라는 말이 있다. 묘하게도 본 고사는 정치적으로 많이 인용되고 있다. 곧 선거 때 자기의 당선을 위해 애써준 동지가 권력에 편승되면 점점 힘을 얻어 권력을 많이 남용하여 당선자의 입장을 곤란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지만, 내치자니 자기에게 헌신한 공로를 잊으면 안 되는 의리가 작용하고, 그냥 두자니 점점 더 선을 넘어 권력을 독차지하여 당선자의 입장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로 그냥 둘 수가 없는 매우 난처한 경우가 많다.
보자, 그런 경우를.
월(越)나라가 오(吳)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은 범려(范?)였다.
범려는 20여 년 동안 월왕 구천(句踐)을 보필하면서 그를 패자(覇者)로 만들었다. 그 공로로 범려는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지만, 구천이란 사람의 이중(二重)성격을 간파하고 전쟁이 끝나서는 갖은 핑계를 대고 구천에게 작별을 고한 뒤 제(齊)나라로 갔다.
제나라로 간 범려는 자신과 절친했던 월나라의 대부 문종(文種)에게 편지를 썼다. "하늘에 새가 다하면 좋은 활도 창고에 넣어 두게 되고,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으며, 적국이 망하면 모사가 죽는 법이오. 게다가 월왕 구천의 상은 목이 길고 입은 새 부리처럼 생겼는데(長頸烏喙/ 긴 목에 까마귀 부리 같은 뾰족한 입)이런 인물은 어려움은 함께할 수 있으나 즐거움은 함께 누릴 수 없소. 그대는 어째서 떠나지 않는 것이오?" 문종은 편지를 본 후 병(病)을 칭하고 조회에 나가지 않았다.
그 후 월나라 간신들은 문종이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고 참소했다. 월왕이 문종에게 칼을 주며 말했다. "그대가 과인에게 오나라를 치는 일곱 가지 술책을 가르쳐 주었고 과인이 그중에 셋을 써 오나라를 멸망시켰다. 나머지 네 가지가 그대에게 있으니 그대는 나를 위해 선왕을 따라 시험해 보라." 이에 문종은 자살하고 말았다.
이는 토사구팽(兎死狗烹)이라는 고사성어를 낳은 어원이기도 하다.
옛 말에 용략이 주인보다 앞서게 되면 그 신변이 위험해지고, 공로(功勞)가 천하를 덮게 되면 오히려 상(賞)을 받지 못한다(勇略震主者身危 功蓋天下者不賞/용락진주자신위 공개천하자불상)라고 했다.
요즈음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계륵과 닮았다. 위정자(爲政者)분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를 정독하고 정치에 임했으면 좋겠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장상현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