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제천지역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 이장용 선생(왼쪽)'과 본보 손도언 기자…이 선생은 1940년도 중반 초교시절, '제천시 청풍면 읍하리 마을 지도'를 직접 그리고 있다. 그의 기억은 생생했고, 매우 구체적이다. 당시 이 선생 거주지는 속수승평계 단원들의 연습장소와 불과 100m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1편, 첫 보도는 '전라도 허름한 골동품 상점서 발견된 '13글자'의 비밀은?'이다. 50편 기사는 '학계도 몰랐던 인물…본보, 청주 박팔괘 후손 찾았다'다.
50편은 528일 동안 이어졌다. 기사 글자 수는 대략 17만 5천자다. 보통, 한편 당 3500자로 계산했다. 200자 원고지로 합계한다면 875장 정도다.
등장 인물은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장 및 김영운 국립국악원장 등 국악 학자와 이장용 제천 청풍승평계 첫 구술 증언자 등의 인물, 그리고 국악 관련 역사·전공자·이론가 등 인터뷰에 응한 취재원까지 합치면 100명을 훌쩍 넘는다. 취재는 서울과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상도 등 전국에서 이뤄졌는데, 거리만 수천 km 가량 이동했다. 제천 청풍승평계 관련 기사는 핫이슈로 평가받았다. 본보는 30일동안 매일 제천 청풍호를 찾아 물속과 주민들의 증언을 들었다.
특히 1년 5개월 간 취재한 구술 증언자 등 국악계 주요 인물들은 영상과 음성 녹음 파일로 모두 기록해 놨다. 또 이들의 관련 사진과 기록물 등도 수집했다. 영상과 음성 녹음 파일 분량은 수백 시간가량 된다. 사진 역시, 100장 이상이다. 이중 독자 제공 사진은 50여장이다. 무엇보다 노 관장에게 큰 도움을 받았다.
'80여년 전,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인 청풍승평계·속수승평계 단원인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의 제적등본'…제적등본 아래 부분에 '이태흥(빨간색 부분)'이라고 한자로 적혀있다.제적등본은 제천군지 기록과 일치했다. 본보가 입수한 제적등본은 '제천 대규모 국악단체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했다.이태흥은 속수승평계 43명 중, 서열 2위였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이렇게 국악계 중요 인물들의 기록이 역사의 한 장면으로 남고, 또 앞으로 소중한 자료로 가치를 인정받길 기대한다.
기획 시리즈를 작성하면서 격려 전화뿐만 아니라 항의 전화도 다수 받았다. 격려 전화는 "이번 기사로 인해 국악학계의 역사는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는 내용도 있다. 반면 항의 전화는 "왜, 판소리의 원류가 호남지역이 아닌, 충청도냐"는 것이다.
'1918년 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단원들이 연습했던 실제 장소(빨간색 부분)'…연습 장소는 제천시 청풍면 읍하리다.사진 중간 부분에 '팔영루(지서 옆에 위치·조선시대 건축물, 충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가 보인다.이장용 선생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 팔영루 옆에 살았는데, 팔영루와 속수승평계 연습장소를 지나서 등·하교 했다고 한다. 이 사진은 2022년 1월 21일 '청풍부읍지사료집성' 기록을 카메라로 촬영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끝으로 이 기획시리즈는 지난 4월 한국기자협회 지역 기획보도 신문·통신부문에서 128년 조직된 국내 최초 국악단체 제목으로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했다. 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속리산 법주사 주지 정도스님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이번 기획 시리즈는 지난해 7월 충북 음성 가섭사에서 '염계달 학술세미나'를 이끌어 냈고, 올 하반기 '제천 청풍승평계 학술세미나'를 앞두고 있다. 앞으로 50편이 더 남았는데, 내년 상반기 중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 이어질 기획 시리즈는 충북뿐만 아니라 충청도, 더 나아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우리나라 국악과 관련된 발굴 기사로 채워질 예정이다. 국악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