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는 1,2차 베이비부머의 자녀들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남다른 이색적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가치 소비 경험을 공유하며 시장과 산업의 트렌드를 바꾸고 있고, 모바일을 통해 자연스럽게 '사회 운동가'가 되어 각종 이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세계 인구의 6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60%), 아프리카(16%), 유럽(8%), 남미(8%), 북미(7%), 오세아니아(1%)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커다란 시장 잠재력을 가진 MZ세대의 위세에 대해 크게 소비와 노동의 측면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소비의 측면에서는, 위의 신조어들이 말해주듯이 가치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세계적인 투자기업 블랙록의 래리핑크 회장도 CEO들에게 보내는 2019년 연례 서한에서 MZ세대 직원 중 63% 이상은 기업의 주요 목적을 더 이상 이윤 창출이 아닌 사회개선으로 인식한다고 언급했다. 이들의 가치 소비가 보여주는 파급력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살펴보자.
대학가의 한 '프린트 카페'는 국제산림인증(PEFC)을 받은 친환경 종이만 사용한다. 사용하는 종이의 2.5배에 해당하는 나무를 더 심는 효과를 보고 있는 프린트 카페는 친환경 매장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2년 새 100개가 넘는 매장을 오픈했다.
비건 식품을 찾는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는 '언리미트'는 고기 맛과 향, 식감을 구현하면서도 100% 식물성 원재료로 만든 대체육이다. 소고기 대신 언리미트 대체육을 1kg 생산할 경우 67kg 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의 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미나 대두 등의 가공 단계에서 버려질 수 있는 재료를 업사이클링을 통해 영양소 풍부한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푸드 업사이클링도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 회사는 10배의 매출 성장을 하고 있다.
두번째 노동의 측면에서는, 기업경영의 일원으로서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MZ 세대는 직장 내 갑질 문화를 더 이상 두고만 보고 있지 않으며, 공정한 보상, 즉 자신이 올린 성과에 알맞은 보상을 원한다. 그들이 받는 처우나 보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여기면, 그들은 오너와 경영진에게 당돌하게 따진다.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와 카카오의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 각각 화상으로 직원들을 만났다. 젊은 직원들이 창업자를 향해 "인센티브와 보상 방안을 개선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자 직접 해명하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는데 보상이 그에 미치지 못한 데 따른 불만을 당돌하게 쏟아낸 젊은 세대들에게 적응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
또한 새로운 노동조합을 설립해 회사에 공정한 처우나 보상을 요구하기도 한다. 최근 LG전자,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사무·기술직 노조가 출범했다. 두 노조는 모두 MZ 세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586 세대가 주축이 된 기성 노조가 일률적인 임금 인상을 위해 파업을 벌이던 것과 달리,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개인 성과에 합당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세계적인 'NET-ZERO'운동, 'RE-100'운동에 따라 아마존도 초기에는 기업이 소모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RE-1OO을 2050년까지 달성하겠다고 발표하였으나, MZ세대 노조원들의 강한 의지가 반영되어 이를 다시 2030년까지 달성하겠다고 수정하여 선포하였다.
요즘 가치소비를 주도하고, 기업경영에 있어 직원들의 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MZ세대, 이들의 행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못한다면 ESG 경영은 성공할 수 없다.
서병권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