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공영주차장 조성에 수억 원의 예산이 드는데, 지상이 아닌 공원 부지 지하나 반 지하 방식의 주차장 조성을 검토 중이다
9월 1일 취재 결과, 8월 26일 시·구협력회의 당시 서구의 건의로 이용률이 낮은 공원·녹지를 주차장으로 활용하자는 안건이 나왔다. 이날 단체장 협의 결과, 녹지 공간 보존도 필요한 만큼 도시계획시설 복합 결정을 통해 공원이나 녹지 지하에 주차장 조성을 검토해보자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협의가 이뤄진 배경에는 현재 주민 민원 1순위로 주차 문제가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6월 기준 대전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는 69만 9873대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2795대가 늘었다.
현재 5개 자치구별 주차장 확보율은 동구 100.32%, 중구 80.46%, 서구 105.81%, 유성구 180.81%, 대덕구 103.35% 정도지만 매년 늘어나는 차량 수에 비해선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어린이보호구역 단속 강화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주변 주·정차가 전면 금지되면서 주차난이 더 심각해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자치구가 매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공원과 녹지 지하에 공영주차장 조성 방안을 검토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지하에 건설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 고심 중이다.
서구 관계자는 "공원 같은데 용도변경을 하거나 도시계획시설 중복 결정을 하려면 변경하는 과정만 해도 1년이 걸리고 일부 예산이 들뿐더러 지하다 보니 내진 보강도 필요해 사업비가 크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유성구 관계자 역시 "공원에 조성할 경우 토지 매입비는 절감되겠지만 지하가 공사비 자체는 많이 들어 장단점이 있어 보인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중구청은 반지하 형식의 공영 주차장 조성을 추진 중이다. 중촌동 중마을 놀이터에 조성할 예정인데, 지형 단차를 활용한다. 중구청 관계자는 "경사가 어느 정도 있는 공원의 경우 단차를 활용해 반지하 형식의 주차장을 만들고 비슷한 높이에 공원을 조성하면 사업비를 절약할 수 있고 부지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반지하로 주차장을 만들고 지상은 다시 어린이놀이터로 복구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남양주시가 최근 학교 운동장 지하에 공영주차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대전 역시 고민해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모 자치구 관계자는 "최근 학교 운동장 지하에 주차장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며 "일부 학교와 협의를 했지만 반대 때문에 추진되진 못했다. 다른 지자체도 진행하고 있는 만큼 공론화해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