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체 조감도. |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과학산업의 집약지인 신동·둔곡지구와 외국인투자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신동·둔곡지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008년부터 대덕특구 활성화를 위해 연계된 산업단지 조성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당시 공약이기도 했는데,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세종, 충북 오송과 기능적 연계가 언급됐다. 이는 자연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위한 충청권의 공동 대응으로 이어졌다.
물론 과정은 쉽지 않았다. 2010년 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면서 대덕특구-세종-오송을 연계한 세종시가 거점지구로 적합하다고 발표했으나, 세종시 수정안이 무산되면서 충청권 입지가 명시되지 않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특별법 제정은 지자체 간 유치 경쟁으로 촉발됐기 때문이다.
이후 김황식 당시 국무총리가 "과학벨트 공모하지 않겠다"고 언급해 과학적 관점에서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강조했으나 결과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이 신년방송좌담회에서 과학벨트에 대한 공약 백지화를 언급하며 파문이 일었고, 대전과 충남, 충북 3개 시·도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 사수를 위한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의 노력으로 5개월 만에 충청권으로 입지가 확정됐다. 이후 2014년 12월에야 미래창조과학부가 실시계획을 승인했고 토지보상 등 지구개발에 착수하게 됐다.
당시 충청권의 주장은 최단기간 최소 비용으로 조성이 가능하고 과학기술 인프라 활용과 연구인력 확보 용이, 전국으로 효과확산이 수월함을 앞세웠다.
외투지역 상세 위치도. |
신동지구는 중이온가속기와 함께 ‘수소산업전주기제품안전성지원센터’와 국가보안연구소,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 한전 KPS, 연구용지로 조성된다.
이런 가운데 2020년 대전시는 첫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둔곡지구 유치에 성공했다. 외투지역은 저렴한 임대료로 부지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지사가 지정·고시한 지역으로 면적 8만3784㎡ 규모다. 임대기한은 최대 50년으로 부지가액의 1%(2022년 기준 384원/㎡)다.
외투지역은 둔곡지구 내 13블록과 16블록이고, 국비 231억, 대전시 154억 원을 투입하게 된다. 외국인투자기업은 신동지구의 중이온가속기, 국내 우수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의 새로운 사업화, 기술혁신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된 유치 분야는 바이오기능성 소재, 신재생에너지, 첨단기술 분야 등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