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중부산림청장 |
산림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임업 분야 근로자의 수(10만1404명)는 2017년(8만2773명) 대비 22% 증가하는 가운데 임업 분야 재해율은 1.02%로 광업(25.82%), 건설업(1.17%)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전 산업 평균 재해율(0.57%)보다 1.8배 높다.
산림사업의 대부분은 조림, 어린나무 가꾸기, 숲가꾸기, 입목수확 등 입목의 단계별 생육 과정에 따라 이루어져 기계톱, 예초기 등 장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장비 사용으로 각종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대부분의 현장이 가파른 산비탈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베어낸 나무가 의도한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거나 벌에 쏘이는 등 현장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산 속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부상자 긴급이송에 장시간이 소요돼 응급처치 등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
요즘과 같은 여름철 작업 시에는 온열질환이 문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전국적인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산림사업장에서 발생하기 쉬운 인명사고 예방 및 폭염피해 최소화를 위해 작업시간 단축, 기상특보에 따른 탄력적 작업장 운영 등 대책을 시행했다. 이에 발맞춰 우리 지방청에서도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풀베기 사업장 등의 근로자 250여명에게 얼음조끼를 지급하고 충분한 휴식공간을 마련했다.
산림청은 최근 누리집(www.forest.go.kr)에 안전보건 소통창구를 개설하고 현장에서 경험했거나 목격한 사고사례, 안전 사각지대 보완대책, 사업장 안전보건 강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 등 안전보건에 관한 내용이라면 어떤 것이든 자유롭게 작성토록 해 근로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림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대 재해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기본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을 정리한 '임업사고 응급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자료를 발간했다. 연구자료에는 중대 재해 유형을 의식장애, 신체 손상, 열사병, 뱀·벌·진드기에 의한 특별한 손상 등으로 구분하고 필요한 치료용품과 응급처치 행동 요령을 담고 있어 산림 내 발생하는 응급상황에서의 대응능력 향상이 기대된다.
산림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리라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산림사고 예방에는 'Best'는 없다. 오직 'Better'만 있을 뿐이다. 산림사업장 뿐만 아닌 모든 산업 현장 근로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현장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근로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중부지방산림청장 김기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