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박팔괘 증손자인 박종덕 씨로부터 가족의 제적등본을 처음으로 입수했다. '박팔괘(빨간색 부분)' 이름 석자가 제적등본에 선명하게 기록돼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중도일보는 지난 25일 오후 박팔괘 증손자인 박종덕(54) 씨를 그의 자택인 경북 구미시 옥계동에서 만나, 단독으로 인터뷰했다. 본보는 박 씨가 실제 '박팔괘 후손'인지 확인하기 위해 구미로 달려갔고, 박팔괘와 어떤 관계인지 등을 면밀하게 확인했다. 확인 결과 박 씨는 박팔괘의 실제 증손자 였다.
박 씨는 본보의 단독인터뷰에서 박팔괘와의 관계 등을 밝혔는데, 그의 인터뷰는 학계의 큰 관심뿐만 아니라 '박팔괘 연구'에도 탄력을 받게 됐다.
본보는 박팔괘 후손으로부터 '제적등본'도 단독으로 입수했다. 제적등본에는 박팔괘의 생몰연대가 정확하게 게재됐고, 그의 후손 이름 등 가족들의 가계도도 엿 볼 수 있었다.
"저의 증조부는 박팔괘 명인입니다"…박팔괘 증손자인 박종덕 씨 가족 제적등본에 박팔괘(빨간색 부분) 이름 석자가 선명하게 기록돼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그동안 국악 학계는 박팔괘의 후손이 존재했는지 등을 80여년 동안 관심조차 두지 않았다. 특히 후손 존재 여부뿐만 아니라 '박팔괘 생몰연대' 등도 학계에 정확히 보고되지 않았다. 박팔괘의 일대기 역시, 전혀 알려진 봐가 없다. 충북 옛 청원군 출신(현 청주시)이자, '충청제'라는 산조 가락을 만들었던 인물로 알려진 게 박팔괘의 전부였다.
"저의 증조부는 박팔괘 명인입니다"…박팔괘 증손자인 박종덕 씨 가족 제적등본에 박팔괘(빨간색 부분) 이름 석자가 선명하게 기록돼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후손 박 씨는 "당대 최고의 국악 명인이셨던 증조부 박팔괘는 말년에 손자의 친구 집 사랑방에서 돌아가신 것으로 들었다"며 "말년에 너무 가난한 삶을 사셨고, 외롭고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하셨던 것 같다"고 말했다.
박팔괘는 '통정대부'라는 직함도 얻었다. 통정대부는 정3품의 상계(上階)다. 통정대부는 당시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여했는데, 박팔괘도 당시 고위 관료로 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팔괘는 조선시대 고종, 명성황후와 함께 사진을 촬영했다고 한다. 후손 박씨는 "모친께서 '박팔괘 할아버지는 고종, 명성황후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고 늘 이야기 했다"며 "고종 등과 촬영한 증조부(박팔괘) 사진, 증조부 인물 사진 등은 여러 번의 이사로 없어져서 아쉬움이 크다"고 강조했다.
"저의 증조부는 박팔괘 명인입니다"…박팔괘 증손자인 박종덕 씨가 베이스기타를 연주하고 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
후손인 박씨는 현재 베이스기타 연주자 겸 버스 운전업을 하고 있다. 박종수 막내딸인 박소라 씨는 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는데, 세계 피아노 연주자 반열에 오를 만큼 뛰어난 음악가로 알려져 있다. '국악과 현대음악', 음악 장르는 다르지만 '박팔괘 가문'의 세계적인 음악성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후손 박 씨는 "청주시 수성초등학교 때, 인근 매봉산으로 소풍을 갔는데, 늘 국악곡인 '새타령'만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살던 집이 외진 곳이었고, 가족들은 '새타령' 등 전통음악만 불렀던 기억만 있다"며 "살던 집이 외진 곳이다 보니, 시내에서 불렀던 신곡 음악은 전혀 알 수 없었고, 가족들이 불렀던 전통음악과 학교 '교가'만 '음악'인 줄만 알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또 "어릴 적, '천엽(川葉)·농사일을 끝내고 먹거리 장만해서 계곡이나 강가로 소풍 가는 것'을 갔었는데, 어머니는 늘 장구로 장단을 맞췄다"며 "청소년 시절 서울 종로 우미관 인근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그 때 스피커에서 흘러나온 음악의 전율은 지금도 잊지 못한다"며 "그때부터 음악의 지식을 조금씩 넓힌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