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대전시장이 직접 폐지를 언급했기 때문에 시 차원에서는 사실상 재고 여지는 없어 보인다. 다만 지역경제형 축제이고, 국제와인기구(OIV) 승인을 받은 세계 3대 아시아와인트로피라는 유일무이한 권위까지 내려놔야 한다는 점에서 심사숙고해봐야 한다는 의견까지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올해 대전국제와인페스티벌은 10회를 맞이했다. 민선 4기 염홍철 대전시장 임기 당시 대전 명품 관광상품 개발을 위해 '푸드&와인축제'가 탄생했고, 약 10년 동안 국내·외 와인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오며 대전만의 특화된 축제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민선 8기가 시작되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임기 첫 확대간부회의에서 "시민에게 경제적 이익이 없는 축제는 구조조정 하겠다"고 말했다. 폐지됐던 '0시 축제'는 세계적인 축제로 부활을 예고했으나, 반대로 와인페스티벌은 소수만 즐기는 축제라는 이유로 과감하게 손을 보겠다는 뜻을 강력하게 밝혔다.
올해는 예산 편성이 이미 완료됨에 따라 예정대로 진행되지만, 내년도는 사실상 기약할 수 없다는 얘기다.
긴 시간 와인 페스티벌을 지켜본 한 관계자는 "10년 동안 쌓인 지속성을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된다. 외국 술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국내 농가에서 와인을 만들어 출품하고 또 수출로 이어지는 사례가 지속해서 늘고 있다. 먹고 마시는 소비성 축제가 아니라 세계적 권위는 물론 규모와 전시, 행사, 콘퍼런스까지 규모를 키워 정점에 올라 있다. 수도권 외에서는 유일한 특화 축제"라고 강조했다.
올해 와인 페스티벌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특화 전시회,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특화 축제로 선정돼 국비 보조금을 받는다. 물류나 해외 입국자 문제 등은 중앙부처와 협업하고 있다.
와인 페스티벌 참가자를 분석한 결과, 70%가 20~30대이고 1969년 대전 산내포도로 국내 최초 와인이 만들어졌다는 역사성까지 존재한다는 주장도 힘을 싣고 있다.
'폐지파'는 와인 페스티벌로 대전의 위상이 얼마나 올랐는가 체감도가 낮고 대전 지역경제 선순환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다. 또 국내 와인 소비자와 산업 종사자들이 와인 페스티벌 개최로 대전을 와인의 도시로 인식하느냐도 지적했다. 축제가 열린 횟수보다는 와인으로 파생된 지역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논리다.
유지와 폐지 분분한 의견 속에서 대전시는 우선 페스티벌 개최 후 내부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이장우 시장이) 폐지 또는 구조조정으로 공식 언급했다. 다만 다방면에서 페스티벌의 의미와 효과 여부를 분석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