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진 (사)해군OCS장교중앙회 사무총장 |
이번 림팩훈련에 참가한 전력은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6112/ 1만4500톤),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DDG-991/7600톤), 구축함 문무대왕함(DDH-976/4400톤), 214급 잠수함 신돌석함(SS-Ⅱ/1800톤) 등 함정 4척, P-3C 해상초계기 1대, LYNX 해상작전헬기 2대,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9대와 해병대 1개 중대, 특수전전단(UDT/ SSU) 4개팀, 59기동건설전대 10여명 등 참가 병력 총 1000여명으로 규모면에서 전체 26개 참가국 중 미국해군에 이은 두 번째 순위로 역대 최대 규모의 전력과 병력이 참가했다.
한국해군의 성과와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 림팩훈련 참가 최초로 다국적 연합원정강습단장(CTF-176) 임무 수행을 통하여 미 해군에서 실험단계에 있는 원정전방기지작전(EABO)에 대한 작전개념과 절차, 교리 체득 등 연합해상작전 지휘능력을 숙달했으며 향후 항공모함 확보와 운용을 대비한 항모전투단 작전운용능력 습득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미래 전장의 게임체인저로써 부상하고 있는 해상·수중 감시정찰, 기만·교란 및 대수상함·대잠수함전·기뢰전 수행이 가능한 인공지능(AI)과 초연결 네트워크 지능 지휘통제 기반의 임무 자율형 무인수상정 (USV), 무인잠수정(UUV), 무인항공기(UAV)와 수상함/해상작전헬기 · 해상초계기 등으로 구성된 한국형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연구개발 및 전력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번 림팩훈련기간 동안 미 해군은 중국의 반접근거부전략(A2AD)에 대응하기 위한 분산해양작전(DMO) 구현 차원에서 유·무인함정을 혼합 편성해 협업작전이 가능한 유령함대(Ghost Fleet) 개념을 발전시키기 위해 작전지휘함으로 지정된 줌월트급 스텔스구축함 마이클 몬수르함(DDG-1001/1만5,656톤)과 무인수상함 4척을 대상으로 전투실험을 실시하여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고 한다.
셋째, 한국산 함정, 장갑차 등 해상무기체계가 고성능성, 신뢰성과 더불어 최고 가성비를 지닌 무기체계로 인식하게끔 잠재 고객인 훈련 참가국들에게 각인시킨 K-방산 홍보 이벤트였다는 점이다.
이는 이번 훈련에 참가한 우리해군 함정 4척을 포함하여 최근 수출된 필리핀해군 호위함 안토니오 루나함(FF-151/2870톤)과 뉴질랜드해군 군수지원함 아오테아로아함(2만6000톤), 페루해군에 퇴역, 양도된 초계함 BAP Guise함(구 순천함, CC-28/1220톤) 등을 통해 입증됨으로써 향후 국산 함정의 수출 청신호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한국해군의 이번 '환태평양훈련 2022'참가는 유사시 배타적경제수역(EEZ)과 이어도와 독도 해상, 관할해역에서 주변국간 분쟁 발생에 대비하고 최근 대만해협 위기고조에 따른 해상교통로(SLOC) 봉쇄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한미동맹이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써 중추적인 역할이 가능하도록 국가전략을 뒷받침하는 측면에서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인도태평양전략 참가 일환의 해양안보활동에 해군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생명선인 인도양 ↔ 말라카해협 ↔ 남중국해 ↔ 대만해협 ↔ 동중국해로 이어지는 해상교통로(SLOC) 보호활동 등 원해작전 수행이 가능한 국가전략자산인 항공모함 전력을 확보해야 한다. 명실상부한 해양강국 대양해군의 중강국이 되기 위한 노력이 중단없이 추진되어야 할 것임이 자명한 사실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