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연구원 류유선 책임연구위원이 발표한 '대전시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정책과제 발굴'을 정책과제를 보면 해마다 대전의 경력단절여성(15~54세) 인구는 2021년 기준 4만 명 수준이다. 경력단절여성 인구 비율은 30대가 1만85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 1만4555명, 50~54세 3855명, 20대 이하 2553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졸 이상은 2만5240명으로 확인됐다.
경력단절 사유는 52%로 절반 이상이 육아였다. 결혼준비 24.7%, 임신과 출산 16.1%, 가족돌봄 4.3%, 자녀교육 2.9% 순이다. 육아는 2019년 37.8%에 불과했으나 3년 만에 52%라는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연구자료에 따르면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시기는 10~20년 미만이 1만1089명, 5~10년 미만 1만193명으로 사실상 중견 이상의 경력을 쌓을 시기가 가장 많았다. 결국 고학력과 고경력의 경력단절여성이 대전이 상당하다는 얘기다. 경력단절여성 63%는 구직 활동 경험이 있었고, 실제 취업 희망률 또한 높게 파악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그러면서 "대전의 산업별 종사자를 보면 산업 주 종사자는 남성이고, 여성은 서비스 분야에 집중돼 있다. 또 남성 경제활동 참가율과 여성은 20%가량의 격차가 계속 유지되고 있고, 임금 격차 또한 명확하다"라고 실태를 꼬집었다.
대전시는 조직 내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업무 조직이 있고 주요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예산 92.3%가 돌봄 지원 체계 강화에 쏠려 있다.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강화는 6.1%, 경력단절 예방 내실화는 1.6% 수준에 불과했다. 새일센터와 여성인력개발센터 중심으로 경력단절여성 지원사업이 이뤄지고 있었지만, 대전시 자체 사업은 없다는 점도 숙고할 과제였다.
실제 경력단절여성들이 체감하는 문제점은 심각했다. 타 시·도에 비해 일자리가 없고 결혼으로 퇴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으며 재취업하더라도 저임금과 야근 강요, 불합리한 노동 조건과 복지 등에 발목이 잡히는 굴레가 반복되고 있었다. 결혼이 가장 큰 경력단절의 원인이지만 이 밖에도 여성노동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고민이 시대 변화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결론이다.
류유선 책임연구위원은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전담팀 운영과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해 시의적절한 연도별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연령과 학력별 정책 발굴과 지역 내 기업의 경력단절여성 취업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