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휴일에 먼 산에 가지 않을 땐 아침 7시께 보문산에 간다. 지난 금요일엔 오전 일찍 일이 있어 10시 넘어서 보문산에 갔다. 산에서 내려오니 12시가 훌쩍 넘어 '고향식당'으로 갔다. 내부가 깔끔하면서 정갈하고 무엇보다 북적북적하지 않아서 안심이 된다. 먼저 숭늉이 나왔다. 구수한 숭늉을 마시고 수저로 보리를 건져 먹었다. 깨물면 톡톡 터지는 것이 앵두 같다. 드디어 보리밥 대령이오! 군침이 확 돌았다. 쌀과 보리가 반반 섞인 밥에 무생채, 비름나물무침, 콩나물무침, 버섯볶음 등을 다 넣고 된장찌개를 넉넉히 넣은 다음 고추장을 넣고 비볐다. 밥을 수저로 크게 떠서 우물우물 씹었다. 나물들과 밥의 조화가 일품이다. 호박과 두부를 넣고 끓인 된장찌개도 부지런히 떠먹었다. 칼국수는 배추겉절이, 설렁탕은 깍두기, 백반집은 밥이 중요하듯 보리밥은 된장찌개가 생명이다. 쌀과 보리는 기질이 다르다. 쌀밥은 푸들처럼 혀에 착착 감기는데 보리는 줄 듯 말 듯 애간장을 태운다. 이팔청춘 성춘향과 이몽룡이 사랑놀이 하듯 말이다.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잡히는 가 싶으면 요리조리 달아나고. 보리의 밀당솜씨가 보통 아니다.
옆 식탁엔 중년의 여성들이 밥을 먹으며 얘기꽃을 피웠다. 살 얘기다. 요즘은 어딜가나 살이 화두다. "아유, 나이 먹고 폐경되니까 먹는 족족 살로 가니 속상해 죽겠어.", "그러게 말야. 운동해도 안 빠지고. 작년에 입던 바지가 안 맞아. 어떡하면 좋아.", "늙는 것도 서러운데 살만 찌고. 먹는 걸 줄이는 수밖에 없어." 슬쩍 보니 밥은 반도 안 먹고 파전도 울고 있었다. 아, 저 남은 음식들 다 쓰레기통으로 들어갈텐데.
어릴 적 보리밥을 지겹게도 먹었다. 보리밥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뽀얀 쌀밥 도시락을 싸오는 친구가 무지하게 부러웠다. 빵도 보리로 만들었다. 엄마는 절구에 보리를 넣고 찧어 반죽을 한 다음 팥소를 넣고 쪘다. 거칠고 거무튀튀한 보리빵. 나는 속에 든 팥소만 빼 먹었다. 눈처럼 하얗고 보들보들한 밀가루빵이 먹고 싶은데. 내가 먹은 보리빵은 속을 훤히 내보인 채 발라당 누운 신세다. 그건 엄마 차지였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돼 금방 배가 고프다. 방귀도 잘 나온다. 친구들과 오징어 놀이 할 때 한쪽발로 폴짝폴짝 뛰다보면 나도 모르게 방귀가 나온다. 뿡뿡. 지금은 보리밥이 별미다. 보리빵도 웰빙빵으로 불린다. 신문사에 갓 입사했을 때 하루는 점심으로 보리밥을 먹기로 했다. 내가 좋아라 하자 남자 선배가 말했다. "우난순씨, 보리밥 안 지겨워? 우리 어릴 때 많이 먹었잖아." 옛것은 좋은 것이여. 보문산도 그렇다.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