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역 교육 관계자의 말이다. 일반 학교는 '단합'을 중요시하면서 개개인의 생각보다는 통일된 생각을 더욱 질서 있다고 보는 반면, 대안학교에서는 각자의 생각을 주장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게 다른 점인 것 같다는 얘기다.
실제로 방문해 본 대안학교들은 학교의 운영 방안 중 일부가 학생들의 의견으로 이뤄졌다. 선생님이 없이 아이들이 직접 회의를 주도하며, 안건을 채택하고 여러 의견을 나눈다. 직접 정한 운영 방안 중 위반한 사례가 있다면 이조차도 어떻게 책임을 물을 것인지에 대해 학생들끼리 논의한다. 상을 줄 때도 아이들이 직접 수여하기도 한다. 일반 학교에선 볼 수 없는 풍경이다.
현재 대전교육청의 대안학교는 설립 구상 단계에 놓여 있다. 부지와 설립 계획에 대한 큰 틀은 정해져 있지만, 세부적으로 안에 '무엇을 담을 것'인지에 대한 세부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타 시도의 대안학교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산청 ㅏㄴ디학교의 식구총회 모습. |
③ 국내사례 2. 산청 간디학교
#. 산청 간디학교의 식구총회 시간. 총회가 진행되는 강당 한 켠 스크린에는 '선택이동학습 기획안 안내'라는 문구가 화면에 띄워져 있었다. 소개된 기획안만 22건이었다. 학생들이 주제, 테마, 장소 등을 직접 선정해 내놓았다. 주제 선정뿐만 아니라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의사 표현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화면이 넘어갈 때마다 학생들은 여러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자신이 원하는 주제가 있다면 호응하는 식으로 말이다. 내용엔 △ 공예·목공 작업 △ 해양 쓰레기 줍기 △ 축구 △ 북스테이 △ 걷기 △농촌활동 △소수집단 연구 △미술관 탐장 △지리산 종주 등이 담겨 있었다. 주제 선정 또한 '주제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진행한다. 하나의 의견을 다수가 따라야 하는 건 아니다. 주제는 여러 개가 선정될 수 있으며, 좁혀진 선택안에서 또 선택할 수 있다.
산청 간디학교 모습. |
고등학교 이동학습을 생각하면, 학교에서 안내문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이를 따르는 방식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하지만 이곳에서 본 모습은 정반대였다. 학교 안에서 결정되는 모든 사안을 교사와 학생이 논의하며, 학생들의 결정권을 우선으로 생각한다.
이 같은 학교의 총회는 1주일에 한 번 진행된다. 시작 시간은 정해져 있으나 끝나는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다. 충분한 대화와 토론을 통해 결론이 지어지게 되면, 그때 회의가 끝나게 된다.
회의의 주도권은 학생들에게 있다. 학생회 담당 교사가 안건을 조절하고 정리하기는 하나, 식후총회 또는 학생총회 안건을 분류해 주는 역할에 그친다.
산청 간디학교는 1997년 개교한 사립 고등학교다. 주입식 교육, 장시간의 수업, 입시 위주의 교육 등 기존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27명의 학생과 10여 명의 직원으로 한국 최초 상설 대안학교로 문을 열었다. 식구총회 활성화, 기숙사 생활, 학생회 자치활동 지원, 학생이 조직하는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한 책임성 있는 인간 육성 등 간디학교가 중점을 두고 있는 교육 목표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발언할 수 있는 자립적인 모습으로 길러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산청 간디학교 모습. |
산청 간디학교의 관계자는 "고등학교 3년을 대학을 갈지, 안 갈지도 모르겠지만 대학을 위해 보내고 싶지 않은 아이들이 대다수"라며 "단순 대학을 위해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내가 잘하는 것 또는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한 욕구로 지원을 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을 위해 학생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이동수업 및 개별화 학습도 진행된다. 산청 간디학교의 철학은 '행복하자'이다. 학생들이 사랑과 자발성으로 행복한 사람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실제로 2017년 간디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졸업생 설문을 진행한 결과, 졸업생 530명 중 150명이 응답했다. 응답한 이들 3분의 2(약 66%)가 '지금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에 '행복하다'라고 답했다고도 한다. 평균 20~30대 성인에게 같은 질문을 던졌을 때 대략 29%만이 그렇다고 답한다고 한다.
학교는 학생들을 행복한 사람이 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을 진행하고, 아이들도 교내에서 자신의 자아를 실현해 나가고자 한다. 이 같이 학교의 철학이 아이들에게 반영될 수 있는 건 대안교육에 대한 철학이 무너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학교 관계자는 얘기한다.
대안학교를 설립하고자 했을 때 커리큘럼은 여기 저기서 참고하는 식으로 진행해도 사실상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교육철학은 그렇지 않다. 어떤 철학으로 교육을 진행해 나갈 것인지가 학교 설립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산청 간디학교 관계자는 "학교의 교육철학을 무엇을 할 건지를 굳건히 해두지 않으면, 담당 장학사 등이 바뀌었을 때 교육 방식도 그때그때 변경될 수도 있다"며 "시작 단계에서 어떤 교육철학을 만들겠다고 분명히 해두면 본질적인 건 해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