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택시 잡기와 공연 예매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택시 잡기와 공연 예매

최대원 세종시문화재단 공연사업본부장

  • 승인 2022-08-10 14:33
  • 신문게재 2022-08-11 19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최대원=세종시문화재단공연사업본부장
최대원 세종시문화재단 공연사업본부장
최근 서울에서 오랜만에 가까운 사람들과의 자리가 늦어져 밤 12시경에 택시를 타야 할 상황이 생겼었다. 전화기 배터리가 다되어서 겨우 꺼지기 전에 택시가 잡혔는데, 만일 이 택시를 타지 못하고 전화기가 꺼졌으면 정말 낭패였겠다는 생각을 했다.

실제로 용산역에서 택시를 타지 못해 밤에 공유 자전거를 이용하여 1시간가량 타고 집에 온 경험도 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요즘 서울에서 밤에 택시를 잡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주말에 세종시 공연장 업무 끝나고 서울역이나 용산역에 늦게 도착하는 기차를 탄다면 1~2시간 기다려야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연하다시피 된 지 오래다.

이유는 언론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코로나로 인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않는 보수를 견딜 수 없어서 10만여 명 정도였던 기사수가 최근 7만여 명으로 줄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택시는 있어도 기사가 없다는 것이다.



필자가 사는 세종시 역시 택시를 타는 게 쉽지 않다. 기사님들에게 물어보면 택시 영업이 잘되지 않기에 기사가 별로 없고, 택시를 잡기 어렵기에 시민들은 택시 타는 걸 포기한다는 설명이다. 거의 모든 가정에 승용차를 보유하게 되고 지하철 등 많은 교통수단의 발전, 그리고 공유 자동차 등 여러 가지 새로운 대체수단으로 인하여 점점 더 택시업계는 어려운 상황으로 빠지는 것 같다.

과거에는 길가에 서 있으면 지나가는 택시를 잡을 수 있고, 택시 정류장에 가면 제법 택시들이 많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나가는 빈 택시를 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유는 거의 모든 택시가 앱 서비스를 통해 예약 운영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매우 편리한 기능이지만 나이 많은 어르신이나 앱을 잘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참 어렵고 불편한 시대라는 것은 문제이다.

공연을 예매하는 것도 비슷한 경우들이 있다. 최근에 필자가 근무하는 세종예술의전당에서는 피아니스트 조성진과 크리메라타 발티카가 함께하는 '조성진 그리고 쇼팽'이라는 공연을 기획하여 티켓오픈을 했다.

공연에 대한 안내와 티켓오픈 일시를 사전에 여러 경로를 통하여 안내하였지만, 재단 홈페이지와 예매처 홈페이지를 이용한 온라인 예매의 결과는 예매 시작 2분 만에 전 석 매진되었고, 이 경우 예매에 실패한 관객에게 불만 아닌 불만의 전화를 많이 받게 된다.

정말 감사한 일이지만, 온라인으로 모든 예약이 순식간에 끝나는 일은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필자가 기획하여 진행하는 공연에 본인 또한 온라인 예약에 실패하였다. 심지어 주요공연의 경우 빠른 온라인접속을 통한 티켓팅을 위하여 직장이나 집이 아닌 PC방에서 예매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라떼 이야기 같아서 좀 그렇지만, 과거에 온라인 예매가 없던 시절에는 시내 주요 예매처에 직접 가거나 전화예매가 주를 이루었다. 온라인보다는 방송 또는 일간지 등 활자 매체를 통한 홍보가 절대적이었기 때문에 주요 일간지에 공연기사가 한 줄이라도 나가는 날이면 직원은 새벽 4시에 출근을 해야 했다. 정말 그 새벽에 신문을 보고 예약 전화를 하시는 분들이 제법 있었기 때문이다. 내 생각엔 그때 그렇게 부지런했던 어르신들은 요즘엔 거의 예매에 성공하지 못하실 거 같다.

온라인 예매를 대폭 줄이자는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 다른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다. 웹 접근성이 떨어지는 어르신들을 위하여 정부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처럼, 공연장도 전체 좌석을 온라인으로 예매하는 방식에서 일부는 전화예매나 현장판매를 하는 방법도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가끔은 길 가다가 지나가는 택시를 손들어 잡기 편했을 때와 담당자로서는 좀 힘들었지만, 새벽에 전화예약을 열심히 받던 그때가 그립기도 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