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행복도시, 탄소중립 향한 다양한 친환경 건축 선도 필요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행복도시, 탄소중립 향한 다양한 친환경 건축 선도 필요

최임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 승인 2022-08-10 08:20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차장님 사진
최임락 차장
최근 지구촌 곳곳은 기록적 폭염과 폭우, 가뭄과 대형 산불, 수온상승 등 기후변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지구촌 온난화 1.5℃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0℃의 기온이 상승했고, 현 상태가 지속될 경우 2030부터 2052년까지 중 1.5℃까지 상승해 극한 고온, 호우, 가뭄 등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온난화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때문이라는 것은 과학적으로 분명해 보인다. 이에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를 감축하기 위해 탄소중립 그린도시 및 제로에너지 건축 확산 등을 통해 녹색산업 규모를 30% 이상 확대하기 위한 국정과제를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건물 부분 온실가스 배출량은 179.2백만 톤 CO2eq(이산화탄소 배출량)로 산업부문(54%)에 이어 두 번째(25%)로 많다. 이를 감축하기 위해 건축물 에너지 효율 향상, 고효율 기기 보급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화석에너지 사용감축에 초점을 둔 것이며, 이 외에 친환경 건축 재료인 목재 사용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의 친환경건축 성적표를 살펴보자.

2012년 이후 행복도시에 건립된 건축물은 532개(소규모 제외)이며 254개(48%)의 건축물이 녹색건축인증을 받았다. 특히, 최우수 등급은 7%로, 전국(5%)보다 높다. 또한 2020년부터 의무화된 제로에너지 인증 건축물도 25개로, 2020년 이후 건립된 건축물(83개)의 25%에 이른다. 이에 따라 행복도시는 녹색건축 우수지역으로 분류된다.

태양광과 지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수소연료전지,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등 신재생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한 결과, 2021년 기준 건물에너지 사용량도 전국 광역자치단체 대비 낮은 수준인 '저에너지 사용도시'로 평가되고 있다.

친환경자재의 대표 주자는 목재다. 목재는 탄소저장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량과 폐기물 발생률이 가장 낮으며, 재활용률도 96%에 이른다. 특히, 지역생산 목재를 가공한 제품을 이용할 경우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량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국가 탄소 발생 감축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의 목조건축 건립사례를 보면 목재 1㎥의 탄소저장량은 약 0.85톤 CO2로 조사됐다. 행복도시 내 복합커뮤니티센터 1곳(약 1.2만 ㎡)을 목조로 건립할 경우 약 1359톤 CO2의 탄소 감축이 예상된다. 이는 행복도시 '204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서 제시된 2030년까지 탄소감 축량의 0.11%로 목재의 뛰어난 탄소 저감 능력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행복도시건설청에서는 '공공건축 목재료 확대 추진방안’을 마련해 민원인 공간과 어린이 공간, 공원 내 관리시설, 벤치 등에 목재사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목조건축 확대를 위해서는 해결과제도 있다. 증가하는 사업비 확보 및 안정적 목재조달, 재료 안정성 및 목조 전문가 확대 등이다. 또한 '지역에서 생산된 자재의 사용' 항목을 녹색건축인증 항목에 추가함으로써 국내 목재산업도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올해 7월 안토니우 구테헤스 유엔사무총장은 독일 기후회의에서 '기후 위기는 우리의 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탄소중립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친환경 건축 또한 다르지 않다. 그 길에서 우리의 지혜와 노력, 열정이 모이기를 기대한다. /최임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고교 당일 급식파업에 학생 단축수업 '파장'
  2. 대전 오월드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 작업자 추락해 사망
  3. 열악했던 대전 여성노숙인 쉼터…지원 손길로 '확 달라졌다'
  4. "뿌리부터 첨단산업까지… 지역과 함께 혁신·성장하는 대학"
  5. 대전 중구 교육부 평생학습도시 신규 선정 '중구가 대학, 온마을이 캠퍼스'
  1. 대전교사들 "학교 CCTV 의무화, 사건 예방에 도움 안돼" 의무화 입법에 반발
  2. 계룡산성 道지정문화재 등록 5년째 '보류'…성벽과 기와 무너지고 흩어져
  3. 대전 금고동 주민들 "매립장·하수처리 공사장 먼지에 농사 망칠판" 호소
  4.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5.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헤드라인 뉴스


[르포] 4·2 재보궐 현장…"국민통합 민주주의 실현해야"

[르포] 4·2 재보궐 현장…"국민통합 민주주의 실현해야"

"탄핵정국 속 두 쪽으로 갈라진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고 민주주의가 살아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요." 4·2 재보궐선거 본 투표 당일인 2일 시의원을 뽑는 대전 유성구 주민에게선 사뭇 비장함이 느껴졌다. '민주주의의 꽃' 선거를 통해 주권재민(主權在民) 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발현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 저마다 투표소로 향한 것이다. 오전 10시에 방문한 유성구제2선거구의 온천2동 제6투표소 대전어은중학교는 다소 한산한 풍경이었다. 투표 시작 후 4시간이 흘렀지만 누적 투표수는 고작 200표 남짓에 불과했다. 낮은 투표율을 짐..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약 9500여 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 1073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 2023년 2분기 말(9332만 원) 이후 6분기 연속 증가했다. 1년 전인 2..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