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32강 귤중지락(橘中之樂)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32강 귤중지락(橘中之樂)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8-09 11:0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132강: 橘中之樂(귤중지락) : 감귤 열매 속에서 나누는 즐거움

글 자 : 橘(귤나무 귤), 中 (가운데 중), 之(갈 지/어조사 지), 樂(즐거울 낙)

출 처 : 당(唐)나라 우승유(牛僧孺)의 현괴록(玄怪錄). 술이기(述異記) 망우청락당집 (忘憂淸樂堂集)

비 유 : 어떤 재미있고 즐거운 놀이에 빠져 시간가는 줄 모르는 상황에 비유함.



중국 내륙 쪽 깊숙이 들어앉은 파촉(巴蜀)지방의 어느 농가 울타리에 수백 년 묵은 커다란 감귤나무가 있었는데 어느 해 유난히 큰 귤 한 개가 매달려 있어 그 집주인이 한여름 동안 조심스럽게 잘 가꾸었더니 세 말 들이 단지만큼이나 크게 자랐다.

대대로 착하게 살아왔던 이 집 식구들은 필시 무슨 길조일 것으로 짐작하고 다 익었을 때 조심스럽게 큰 귤을 반으로 쪼개니 이게 웬일인가.

귤 속에는 좌우 두 쌍의 노인 네[四]사람이 두 틀의 바둑판을 놓고 오로(烏鷺/검은색과 흰색으로 바둑을 일컬음)삼매경에 흠뻑 빠져 있었다,

그러다가 노인 한 분이 큰 귤을 갈라놓아 신선놀음의 무르익은 경지를 깨뜨려 버린 것을 심히 질책하면서 땅으로 껑충 뛰어내리더니 별안간 분출하는 샘물의 안개 속에 하얀 용(龍)으로 돌변하여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일은 과연 이들 네 노인들이 누구였느냐는 의문이었는데, 후세 사람들이 그 유명한 상산사호(商山四皓)라고 주석을 붙였다.

상산(商山)은 중국 섬서성 상현(陝西省 商縣) 동쪽에 위치한 명산이다.

어지러운 난세를 피하여 숨어살기에 알맞은 험준한 산으로 진(秦) 나라 말기 정치가 혼란하고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시대에 상산 깊숙이 은둔하여 바둑 두는 일로 낙을 삼던 동원공(東園公), 기리계(綺里季), 하황공 (夏黃公), 녹리선생(?里先生) 네 사람이 모두 머리카락, 수염, 눈썹이 하얀 백발노인이었으므로 이들을 가리켜 '상산사호'라 불렀는데 진나라가 멸망하고 한고조(漢高祖)가 무력으로 천하를 다스리게 되어 이들 원로를 중용하려고 했으나 끝내 고사한 채 여전히 깊은 산중에서 바둑으로 소일 하며 난세를 피하여 숨어살았다.

간혹 나무꾼이 나무하러 입산했다가 풍신 좋은 백발노인 네 사람이 나무그늘 아래 넓은 바위에 둘러앉아 바둑 두는 광경을 보고 돌아와서 그 들의 고상한 이야기를 전했을 뿐이었다.

또 다른 전설은 진(晋)나라(265∼420) 때 절강(浙江)상류인 구주의 석실산(石室山) 아랫마을에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평소에 가보지 못한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는데 두 동자(童子)가 나무 아래에서 바둑을 두고 있었다.

왕질이 재미가 나서 옆에 앉아 정신없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구경을 하고 있으려니 한 동자가 주머니에서 귤 비슷한 것을 꺼내주면서 먹으라고 하였다. 왕질은 그것을 받아먹고 나니 배고픈 줄 모르고 바둑을 구경할 수 있었다.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는 맛있는 열매였다.

바둑이 한 판 끝나자 한 동자가 도끼자루를 가리키며 자루가 썩었다고 하였다.

그 말에 정신이 번쩍 든 왕질은 그제 서야 자루 없는 도끼를 들고 황급히 마을로 내려와 보니 전에 살던 사람은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 마을사람 들이 그의 집을 들락거리고 있었으며 집 안에서는 제사를 준비하느라 분주하였다. 이상하게 생각되어 물어보았더니 이 집 주인의 증조부인 왕질이 라는 사람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돌아오지 않아 이 날을 제삿날로 삼았다고 하였다.

두 동자는 신선이어서 바둑 한 판 두는 데 수 백 년의 세월이 흘렀던 것이다. 이렇듯 왕질의 전설에서 유래한 난가(爛柯)는 그 후 바둑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흔히 어떤 재미있는 일에 몰두하여 시간가는 줄 모르고 있는 것을 일컬어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고 한다. 이때 신선놀음이란 바둑을 뜻한다.

그 신선들이 바둑을 둔 산을 난가산(爛柯山)이라 하였고, 왕질이 본 신선들이 둔 바둑을 기록한 난가도(爛柯圖)가 송(宋)나라 기사인 이일민 (李逸民)이 지은 망우청락당집(忘憂淸樂堂集)에 수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한다.

우리는 통상 우연한 이익을 얻고자 요행을 바라거나 노리는 것을 사행성(射倖性)이라고 한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복권(福券)도 사행성에 속한다. 이는 노력 없이 요행을 바라는 놀이로 옛 어른들은 상당히 경계했던 대상이기도 했다. 요즈음 젊은 세대들은 힘든 일을 기피하려는 현상이 뚜렷하다.

몇 년 전만하더라도 잘살아보겠다고 별별 일들 마다않고 해보았던 기성세대(旣成世代)들의 삶의 모습이 우리를 가슴 아프게한다. 기성세대들은 잘살아보려고 열사(熱沙)의 중동(中東)에서, 망망(茫茫)의 원양어선(遠洋漁船)에서, 황량(荒凉)한 미개척지인 외국에서의 피와 땀의 결실로 오늘의 대한민국이 발전되어왔다고 자부한다.

요즈음 청년들은 간혹 지원금에 의지하여 어려운 일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나라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대체의 자생능력을 상실케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망국(亡國)을 초래하게 되니 하루빨리 도려내야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206070100031920000928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