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디지털부 이유나기자. |
이날 행사에는 퀴어 축제가 열리는 다른 지역의 조직위도 볼 수 있었다. 퀴어축제는 2000년 서울에서 시작해 2009년 대구, 2017년 제주와 부산, 2018년 인천·전주·광주, 2019년 경남에서 개최되는 등 점점 확산하고 있다. 이번 달엔 국내 OTT 플랫폼 웨이브에선 오리지널 예능 '남의 연애'와 '메리퀴어'를 공개해 동성연애와 성소수자의 삶을 조명했다. 이 프로그램은 웨이브 신규 유료 가입 견인 순위에서 각각 1, 2위를 기록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화제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도 2회에 신부의 애인이 '여성'임이 밝혀지는 스토리를 전개했다. 성소수자에 대해 공론화가 이뤄질 정도로 우리나라 분위기도 많이 바뀐 것이다.
하지만 대전은 역시 '양반의 도시'인 걸까. 축제가 끝나고 서울에서 대전으로 내려오니 무슨 일 있었냐며 길거리는 조용한 듯 무심했다. 나 혼자만 비에 젖은 채로 무지개 명찰을 달고 있어 뻘쭘하기까지 했다. 퀴어축제도 서울까지 원정을 가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서울, 세종, 충남도를 비롯해 2021년 기준 19개 시도와 기초단체에서 제정된 문화다양성 조례도 2019년 대전시의회에서 발의했지만, 종교단체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이 조례안에는 성소수자와 이슬람 문화 등도 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수자를 향한 대전의 감수성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이러한 보수적인 분위기가 대전에 노잼도시라는 별칭을 만들어준 건 아닐까? 공연과 축제, 문화생활의 발전은 다양성 존중에서 나오기 마련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사회의 틀에 따라 규정짓기 거부하는 청년에게 대전은 노잼도시일 수 밖에 없다. 은행동의 한 독립서점 이름처럼 틀린 게 아니라 우리는 다다르고 서로에게 '다다르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대전역에서 집으로 가는 택시에 포스트잇과 매직펜이 있길래 아쉬움을 적었다. '대전에도 퀴어 축제가 열리길…'.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