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열 수필가. |
십여 년 전만 해도 대전 근교를 나들이 가면 시골에는 볼품없는 컨테이너가 간혹 보였다. 어느 순간 앙증맞고 비슷한 집들이 하나씩 들어서기 시작했다. 일명 '농막'으로 건축면적이 약 20㎡의 적은 집이다.
나이가 들면 조직을 떠난다. 여전히 직장을 다니고 있다 할지라도 처자식 먹여 살릴 정도의 절박함으로 일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는 돈을 벌기 위한 노동은 일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자기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노동은 놀이나 취미라고 여긴다. 굳이 그 둘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어떤 행위를 통해 자기만족과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다면 그것도 일인 셈이다.
요즘 시골은 소멸사회로 향해간다는 말이 체감된다. 그동안 농촌사회를 지탱하기 위해서 동남아 등에서 적극적으로 여성 이민을 받아들였다. 그 결과 면 소재지 어린이집에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더 많고 머지않아 이들이 성장하여 농촌사회를 이끌어 갈지도 모른다. 어쨌든 온갖 노력에도 농촌인구의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농촌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도 녹녹하지 않다. 기후변화로 겨울에 혹한 일수가 줄어 해충이 득실거리고 가뭄도 빈번하다. 농약 규제가 강화되어 저독성 농약으로 자주 방제하게 되니 힘도 많이 들고 비용도 만만찮다. 기후는 통제될 수 없기에 농사를 통해 안정적으로 소득을 얻기가 쉽지 않다. 경제적인 이유로 농촌을 뜨는 젊은이들은 점점 많아지고 노령화의 그늘만 짙어지고 있다.
농업은 변화의 길에 놓여 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농지를 지닌 사람은 '빌 게이츠' 회장이라고 한다. 그를 비롯한 저명인사들이 실제 농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혁명적인 농업 변화의 물결을 '푸드테크'라고 하며 가축사육이 아닌 세포배양으로 고기를 만드는 '대체육'과 '에그테크'가 핵심이다. '에그테크'에는 농업에 IC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대표적이다. '스마트팜'에서는 날씨와 같은 외부변수를 제어하고 수경재배를 통해 잎채소류 딸기 토마토 등을 다량 재배한다.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한 때이다. 도시에서는 퇴직한 '베이비부머'들이 늘어난다. 그들은 자신만의 자유로운 삶이나 제2의 출발을 꿈꾸면서 시골을 기웃거리고 있다. 그 결과가 '5도2촌'으로 나타나는 인구이동이며, 자연적인 주거 형태로 농막이나 '세컨드하우스'가 출현한 것이다.
농막은 늘 생활하는 곳은 아니지만 편의 설비는 제법 갖추어져 있고 1가구 2주택에 해당하지 않으니 점점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시골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인구 유입이 생기니 마다할 이유가 없다. 물론 농막 형태의 주거방식이 농촌사회와의 접점에서 갈등이 있겠지만 큰 물결의 흐름이라 수용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도시에서 살면 늘 이해득실을 따지는 계산속에서 공동체의 눈치를 보며 규정된 자유만 누릴 뿐이다. 시골에서는 비교적 여유롭고 잡다한 인연에서 벗어날 수 있다. 연금으로 경제적인 뒷받침만 어느 정도 되면 일하고 싶으면 일하고, 놀고 싶으면 놀아도 된다. 그런데도 쉼 없이 몸을 움직여야 한다. 시골살이가 적성에 맞으면 아예 정원이나 집을 자신만의 색깔로 꾸밀 수도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텃밭에서 재배되는 상추 가지 토마토 오이 고추 등으로 고독한 한 끼를 창조할 수 있다. 마음속에 잠자고 있는 자유를 찾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고, 자신만의 일을 통한 오롯한 삶을 꿈꾼다면 시골과 도시를 시계추처럼 오가는 일상의 궤도에 몸을 실어보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