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본 이미지는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글 싣는 순서>
상. 그린피 폭리와 편법 운영으로 얼룩진 골프장
중. 대중에게 고통 주는 대중골프장
하. 골프 인구 500만 시대 골프 대중화로 가는 길은
상. 그린피 폭리와 편법운영으로 얼룩진 골프장
코로나19 영향으로 사상 유례없는 호황을 누린 국내 골프장들의 영업이익률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대전·충청·세종 지역 골프장 역시 40~60%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가 최근 발간한 '레저백서 2022'에 따르면 2021년 최고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골프장은 충북에 있는 대중제 골프장인 히든밸리CC로 69.0%의 이익률을 보였다. 이는 회원제와 대중제 골프장을 통틀어 가장 많은 영업이익률이다. 회원제 골프장에서 최대이익률을 낸 곳도 충청권으로 나타났다. 충남에 있는 도고CC로 49.6%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대중골프장의 경우 영업이익 Top 10에 들어간 골프장 중 충청권에만 4곳이 이름을 올렸다.
충청권 골프장의 수익률이 좋아진 이유는 오래전부터 포화상태에 이른 수도권 골프장 수요가 대거 이동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종시 인구 유입과 충청권 대도시의 골프인구 증가도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충남 북부, 충북 등 수도권에 인접한 골프장의 수익률 증가가 두드러졌다. 영업이익 Top 10에 들어간 충청권 4개 골프장이 충북 충주와 진천,충남 천안에 있다.
골프 수요의 증가는 자연스레 이용료 인상으로 이어졌다. 충청권 대중골프장인 히든밸리CC는 8월 토요일 기준 그린피가 최대 22만 원을 받고 있다. 인터넷에 등록하지 않은 비회원은 23만 원을 내야 한다. 골프장 전국순위에서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는 충청권 회원제 명문골프장인 우정힐스CC는 주말 비회원 기준 최대 26만 원이다. 지난해 일부의 대중골프장은 날씨가 좋은 9~10월에 35만 원까지 그린피를 올려받는 등 폭리를 취하기도 했다.
코로나 이전엔 비싸다고 소문난 골프장이 10만 원 후반대 이용료를 받았지만, 최근에는 10만 원대 골프장은 찾기 힘들다. 이들 골프장은 대부분 시설이 노후화돼 있거나 9홀 골프장이 주를 이뤘다. 충청권에서 가장 저렴한 이용료를 받는 골프장은 논산에 위치한 '더힐컨트리클럽'으로 그린피 기준 11만5000원이다.
골프장 시설과 여건에 따라 이용요금에 편차는 있을 수 있지만, 서비스 수준은 변하지 않고 요금만 올려 받는 것은 '폭리'라는 것이 이용객들의 공통된 불만이다.
여론의 비난이 거세지면서 올해 초 일부 골프장들이 이용료를 조금 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실제 이용객들이 피부로 느끼는 인하 폭은 거의 없었다. 그린피를 내리는 대신 캐디피와 카트비를 올리거나 골프장 내 식사비용을 올려 받기 때문이다.
'레저백서 2022' 자료에 의하면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231곳 중 71곳 캐디피가 15만 원대를 형성하고 있었고, 141곳이 14만 원을 받고 있었다. 팀당 캐디피가 18만 원에 달하는 골프장도 있었다. 식사비용도 부담이 크다. 국밥 한 그릇에 1만6000원은 저렴한 편이다. 해물파전 5만~6만 원, 김치찜 12만 원 등 시중보다 월등히 높은 가격대다. 골프장 대부분이 외부음식 반입을 금지하고 있어 이용객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식사비용을 부담할 수 밖에 없다.
GDR아카데미 대전스마트시티점 박현경 프로는 "코로나 이후 그늘집 음식비용을 터무니 없이 높게 받고 있다"며 "아무리 물가상승률을 반영했다 하더라도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의 금액을 청구한다"고 말했다.
골프장 불공정 예약 역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다. 개인이 부정한 방법으로 예약을 선점해 다른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는 사례도 심각한 문제다. 예약 순서에 따라 원하는 날짜가 배당되는 대중골프장의 경우가 특히 심하다. 예약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예약을 선점한 뒤 다른 이용객들에게 재판매하는 예도 심심치 않게 보고되고 있다. 골프장 측에서는 이를 차단하는 방법을 찾고 있지만, 홈페이지에 경고창을 띄우는 것 외에는 달리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정문현 교수는 "골프장 예약 선점(매크로 사용)은 엄연히 따져 공정거래법 위반에 따르는 사기행위"라며 "매크로 방지 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의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