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타당성 용역은 물론 보상비 등 복잡한 절차가 산적해 있지만, 천변을 본래 기능으로 전환하겠다는 시정 철학을 앞세워 철거와 건설이 속도감 있기 추진될 전망이다.
대전천 하상도로는 장맛비나 국지성 호우가 내리면 잦은 범람과 통제로 도로 기능을 상실해왔다. 또 자연경관 훼손과 보행자 위험요소가 커 매번 철거요구 민원이 빗발치던 곳이다. 그러나 원도심에서 서구와 유성구로 이동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로 정착되면서 대체할 수단이 없다는 이유로 현재까지 유지된 실정이다.
2012년 집중폭우로 불어난 대전천 하천도로 모습. 출처=중도일보 DB |
민선 7기에도 구상하던 계획은 있었다. 하천 그린뉴딜 용역에 하상도로 철거 계획안을 담고 박스화(지하화)로 간다는 대략적인 밑그림이었다. 빠르게 추진될 수 없다는 전제가 깔리다 보니 용역은 올해 6월 기한을 넘겨 연말로 연장됐고, 박스화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에 대응할 차선책도 마련되지 않은 상태였다. 결국 그린뉴딜 계획안은 철거하는 하상도로 대안으로 제방도로를 추진하겠다는 이장우 시장의 방침에 따라 폐기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유등천 좌완 제방도로. 이곳은 2차선 도로다. 사진=윤희진 기자 |
대전시 관계자는 "트램과 연계해서 대전천 좌우 제방도로를 올리는 것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폭 20m면 4차로다. 총 길이 12.7㎞ 구간 설계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과정까지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난제는 보상비다. 제방도로가 될 구간 곳곳이 개인 사유지이기 때문이다. 혼잡도로로 지정해 국가계획에 반영된다 하더라도 국비는 설계와 공사비 50%까지만 반영되고 보상비는 100% 지자체 부담이다.
이에 대전시는 올해 하반기까지 타당성 조사와 용역 등 기본 절차를 준비한다. 혼잡도로 국가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경로를 선행적으로 찾고 대전시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구간별 도시개발과도 접목하는 방안을 찾기에 주력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과거 막대한 사업비 때문에 하상도로 철거는 논의만 됐을 뿐 본격적인 현안 사업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현재 여러 방안을 찾고 있다. 구간별로 도시개발사업과 접목하거나 기술적으로 예산 부담이 덜한 방식을 설계하고 타당성 절차를 진행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