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9강 육참골단(肉斬骨斷)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29강 육참골단(肉斬骨斷)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2-07-05 20:07
  • 수정 2022-07-05 20:0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29강: 肉斬骨斷(육참골단) : 자신의 살을 베어내주고 상대의 뼈를 끊는다.

글 자 : 肉(고기 육) 斬(벨 참), 骨(뼈 골), 斷(끊을 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출 전 :삼십육계비본병법(三十六計秘兵本法)목록 2번째 적전계(敵戰計)중 이대도강(李代桃?)에 실려 있다.

비유 : 당장은 자기 살을 도려내 주는 것처럼 뼈아픈 손실과 고통이 있지만, 마지막으로 중요한 적의 뼈를 취하는 전술로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가진다'는 뜻.



6월[호국보훈의 달]이 지나고 시간은 벌써 7월로 접어들었다.

이제는 더위와 싸우며, 때로는 휴식을 가지면서 내일의 재충전을 생각하고 실천할 시기이기도 하다.

인생의 삶이 하도 복잡하고 다양하여 좀 색다른 고사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조국(祖國)이나 군주(君主)를 위해 한 목숨 희생했던 고사에 팀장과 한 팀이 되어 슬기롭게 나라의 위기를 극복한 전국시대 손빈(孫?)에 관한 간략한 고사이다. 물론 여기서 소개되는 손빈(孫?)은 손자병법의 저자인 손무(孫武/기원전 545년경 ~ 470년경)의 손자이며 손자병법을 보완하여 완성시킨 병법가이다.

우선 부하가 자발적으로 희생하겠다고 나선 초한쟁패(楚漢爭覇)시 유방(劉邦)을 구출한 기신(紀信),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등장하는 손견(孫堅)을 대신해서 죽은 조무(祖茂)나 조조(曹操)를 구한 전위(典韋),

한반도 후삼국시대에 왕건(王建)을 구한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등, 이들은 군주를 위해 죽음을 선택한 충신(忠臣)이기에 앞서 군주와 한 팀이 되어 조국과 군주를 위해 기꺼이 희생된 참 인간임을 먼저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들은 자신 한 사람의 목숨을 바쳐 군주와 나라 구원의 큰 목적을 달성시킨 '육참골단(肉斬骨斷)'의 표본들이다.

육참골단(肉斬骨斷)의 본래 뜻은 '살을 베고 뼈를 깎을 만큼의 강인한 정신력'이라는 의미이나 '작은 손실을 보는 대신 큰 승리를 거둔다'는 전략적 용어로 많이 사용된다.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 제(齊)나라 장군 전기(田忌)와 그의 전략참모 손빈(孫?)사이 기사(騎射/전차경주)의 필승방법에서 나온 고사성어이다.

제(齊)나라의 장군인 전기(田忌)와 귀족들은 기사(騎射)라는 게임에 천금의 돈을 걸고 즐기고 있었다.

당시의 기사(騎射)게임은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를 일개 조(一介 組)로 해서 3개조가 각각 한 번씩 차례로 세 번 경기를 벌이게 되어있는데 세 번 경기에 두 번 이상을 이긴 자가 승리하여 상금을 가져가는 일종의 투기게임이다.

장군인 전기(田忌)가 매번 경기에 져 불만을 하자 손빈(孫?)은 그 3개조의 말을 각기 비교한 끝에 말의 속력 역시 3등급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깨달았다. 어느 날 손빈은 그 내기를 구경하다가 경마의 허점까지 간파하였다.

손빈(孫?)은 전기(田忌)를 부추겼다. "내기를 다시 해 보십시오. 제가 장군을 이기게 해 드리겠습니다." 전기(田忌)는 손빈(孫?)을 믿고 왕과 공자들에게 다시 천금을 걸고 내기를 하자고 제안했다.

경기 시작 전에 손빈은 전기에게 승리할 수 있는 비방을 알려 주었다.

"장군의 제일 느린 하등 수레를 상대방의 가장 빠른 상등 수레와 경주케 하고, 장군의 상등 수레는 상대방의 중등 수레와, 장군의 중등 수레는 상대방의 하등 수레와 달리게 하십시오."

손빈의 계책에 따른 결과 전기는 2승 1패의 전적으로 승리하여 천금을 얻었다.

이 일로 전기는 손빈을 더욱 신임하게 되었고, 드디어 그를 왕에게 천거했다. 왕은 손빈과 병법에 관한 문답을 가진 뒤로 그를 스승으로 받들었다.

그 후 전기와 손빈은 잘 맞는 한 팀이 되어 위(魏)나라 장수 방연(龐涓)의 대군을 격파하는 공적을 세우는 반면 할아버지 손무(孫武)의 병법에 추가하여 불후(不朽)의 병법인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세상에 남겼다.

우리는 흔히 작은 것에 집착하여 큰 것을 잃어버리는 경우를 경험하곤 한다.

사람들은 "인생이 다 그런거지 뭐~~"하고 가볍게 지나치지만 실은 그 작은 집착이 큰 변수가 되어 돌이킬 수 없는 곳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의외(意外)로 많다.

평소 '매사를 신중하게' 또는 '다시 한 번 더'의 지혜를 발휘하면 참다운 삶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매사 조급함을 앞세우지 말고 작은 것을 주고 큰 것을 얻는 육참골단(肉斬骨斷)의 지혜가 평생의 행복을 보장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206070100031920000928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추석 기름값 부담 덜었는데, 왜 충청권만 비쌋을까?
  2. 뉴 라이프 웰니스 유성온천!
  3. 학교 당직근무자 열악한 처우 개선 촉구 "명절만이라도 모두가 평등해야"
  4. 대전서부교육청 "전문상담사도 수퍼비전으로 마음 챙겨요"
  5. 경쟁사를 압도하는 제안서 작성법은?
  1. '아~대전부르스·못 잊을 대전의 밤이여' 대중가요 속 이별과 그리움의 대명사
  2.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3.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4.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5. 산에서 함부로 도토리 주우면 안된다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의대열풍 현실화… 수시 지역인재전형 4.4배↑

충청권 의대열풍 현실화… 수시 지역인재전형 4.4배↑

2025학년도 충청권 의과대학 수시모집 지역인재 전형에 지난해보다 4배가 넘는 수험생이 지원해 '충청권 의대 열풍'이 현실화 됐다. 다만 충청권 의대 지원자들의 수도권 중복 합격으로 인한 이탈 현상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종로학원이 비수도권 의대 26곳의 2025학년도 수시모집 지역인재전형 접수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충청권에선 374명 모집에 5330명이 지원해 가장 높은 14.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자 수는 지난해 1213명에서 4.4배 늘었다. 비수도권 전체 26개 의대(단국대 천안 제외) 지역인재전형 지..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대전 지방세 1억 이상 고액 체납자 69명

지난해 지방세를 1억원 넘게 안 낸 고액 체납자가 대전에 69명이고, 이들이 안내 총 체납액은 28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종은 33명·78억원, 충남은 111명·241억원, 충북은 70명 14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한병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지방세 체납액 규모는 ▲2021년 3조 3979억원 ▲2022년 3조 7383억원 ▲2023년 4조 593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체납자 상위 0.6%가 전체 체납액의 49.1%를 차지하는 것으로..

성심당 대전역점 유지되나... 입찰 월 수수료 1억 3300만으로 `뚝`
성심당 대전역점 유지되나... 입찰 월 수수료 1억 3300만으로 '뚝'

매달 4억이 넘는 월세로 논란이 됐던 성심당 대전역점 매장 월 수수료가 기존과 비슷한 1억 원으로 낮아졌다. 이전보다 과하게 높아진 월 수수료 탓에 철수까지 고심하던 성심당은 이번 모집 공고로 대전역점 계약 연장의 길이 열렸다. 18일 코레일유통에 따르면 최근 대전 역사 2층 맞이방 300㎡ 임대 사업자 모집 공고를 냈다. 이전까지 5차 공고를 했으나 모두 유찰되면서 입찰 기준을 변경했다. 월평균 매출액 기준액은 22억 1200만 원으로, 월 수수료는 매출 평균액의 6%인 1억 3300만 원이다. 이는 기존 월 수수료 4억 4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귀경 차량들로 붐비는 고속도로

  • 추석이 지나도 계속된 폭염 추석이 지나도 계속된 폭염

  •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추석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옛 추석은 어땠을까?’ 사진으로 보는 추석명절 모습 ‘옛 추석은 어땠을까?’ 사진으로 보는 추석명절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