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은석 목원대 기초교양학부 교수(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 이사장) |
이 구글에서 제공하는 검색 중 '이미지 검색' 서비스가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이미지로 제시해 주는데, 가장 적확한 이미지를 결과로 제시하기 위해 AI(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내가 '나침반'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글 검색엔진은 전 세계에서 '나침반'으로 검색한 사람들이 선택한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분석한 뒤 가장 정확하고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이미지를 순서대로 정렬하여 나에게 제공해 준다. 즉,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하나의 '단어'와 가장 적절하게 연계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들을 접할 수 있는 것이다.
구글 이미지 검색은 영어를 공부할 때 활용하면 정말 효과적이다. 특히 영어 단어를 공부할 때 단어의 의미를 적확하게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보통 모국어의 경우 어휘는 생활 속에서 언어를 많이 접하고 사용하면서 단어의 의미뿐만 아니라 단어가 활용되는 맥락이나 분위기 같은 활용 정보까지 자연스럽게 습득(acquire) 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수업시간 외에 일상에서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나기 어려운 환경에서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가장 넘기 어려워하는 장벽이 바로 어휘다. 영어 단어를 의도적으로 학습(learn) 해야 하는데, 일상에서 듣거나 사용해 본 적이 없으니 책을 보고 외울 수밖에 없다. 그런데, 책에서는 단어의 의미가 짧은 텍스트로 제공된다. 따라서 영어 단어에 해당하는 정확한 한국어 단어와 떠오르지 않을 경우 그 단어의 의미를 적확하게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비슷한 의미를 가졌으나 미묘하게 다른 뉘앙스를 지닌 단어의 경우에는 더욱 헷갈린다.
토익 단어를 살펴보자. 'gaze'와 'watch'라는 단어는 토익 단어집에서는 짧게 '보다', '지켜보다'라는 뜻으로만 제시되어 있다. 공부할 시간도 부족하고 외우는데 익숙한 우리는 그냥 'gaze는 보다', 'watch는 보다' 이렇게 알아둔다. 이렇게 외우고 외운 단어를 활용하여 문장을 해석할 때는 크게 어렵지 않다. 문제는 내가 생각을 표현하고 싶을 때 발생한다. 말을 하거나(speaking) 글을 써야 하는(writing) 경우, '지금 내가 이 단어를 쓰는 게 맞아?'라는 질문과 맞닥뜨렸을 때, 단어의 적확한 의미를 아는지 그리고 그 아래 숨어있는 활용 상황을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큰 문제가 된다.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gaze'와 'watch'를 찾아보자. gazing, watching으로 이미지 검색을 해보면, 두 단어의 의미와 활용 맥락 차이를 직관적으로 단번에 파악할 수 있다. 'gazing'의 결과로는 별과 은하수가 아름답게 펼쳐진 하늘이나 광활한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이미지가, 'watching'은 집 안에서 TV 화면이나 모니터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의 이미지가 뜬다. 단어의 적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gaze : 자연의 풍경을 그윽하게 바라보다'처럼 길게 설명할 어질 필요가 없어진다.
기술은 기술로 바라볼 때 그냥 기술에 불과하다. 그러나 일상의 필요와 맞닿았을 때, 기술은 생활의 일부가 되며 가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 지점이 바로 디지털자산의 핵심 가치인 '자산화(Assetization)'가 발동되는 순간이 된다.
원은석 목원대 기초교양학부 교수(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 이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