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
정부가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취지로 수도권 대학의 정원 확대를 추진하는 것과 관련,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가 이 같이 말했다.
반도체 인력 문제가 최근 교육계 화두로 떠올랐다.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해 전 정부 부처에 특단의 노력을 강조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지역의 반대가 거센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보다는 대학의 결손인원을 활용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21개 첨단 신기술 분야 정원을 수도권 대학 4100명, 비수도권 3900명 정도로 증원하는 방안을 검토, 이달 중 관련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반도체 강국에 걸맞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인재 양성 의지를 보이는 것은 환영할 만 하다.
하지만, 대학들의 반응은 미묘하게 다르다.
규제에 묶여 정원을 늘리지 못하고 있는 수도권 대학들은 내심 관련 학과 신설, 정원 확대를 기대하고 있지만, 비수도권 대학들은 이렇게 될 경우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 대학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을 우려하며 펄쩍 뛰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로 비수도권 대학교 반도체학과는 지난해 정시 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반면 서울 소재 반도체학과와 대기업 계약학과는 인기가 높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정부가 늘릴 예정인 정원 8000명 중 절반을 지방대에 배정한다고 해도 수도권 대학 집중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면 미달 사태는 불 보듯 뻔한 셈이다.
결국, 반도체 인력 양성 이슈는 지방대 생존 문제, 지역 균형 발전 등으로 프레임이 옮겨져 비춰지고 있다.
논란 속 수도권대와 지방대의 정원을 같이 늘린다고 해도 사실상 다른 학과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게 지방대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사실 학령인구 급감 시대에 대학 정원 조정은 제로섬 게임과 같다.
내년의 경우 대입 지원자 수가 입학정원보다 10만 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학생들은 소위 인서울 대학 등 지역·대학별 만족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방대학에 학과를 개설하더라도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 대학의 소멸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지역과 연결지어 고민을 하고 해법을 찾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흔히들 반도체는 '산업의 쌀'이라고 한다. 그만큼 국가 핵심 산업이고, 미래산업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인력 양성을 위한 대안은 즉흥적이고 일차원적 접근으로 비춰지고 있다. 단순 대학 증설이 아닌 좀 더 세밀하고 체계적인 인재 육성 관리 정책을 기대해 본다. 박수영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